남인순 의원, 거식증 환자 늘고 식욕억제제 공급 증가…낮은 비만기준 영향 의심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SNS가 신경성 식욕부진증(거식증)을 동경하는 '프로아나(pro-ana)'를 확산시킨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거식증 환자의 가장 많은 비중을 10대 여성 청소년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거식증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총 8417명으로 2015년 1590명에서 2019년 1845명으로 16%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성은 2017명, 여성은 6346명으로 여성 환자가 3배 이상 많았다.

지난 5년간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성별·연령 집단은 10대 여성(1208명), 80세 이상 여성(1103명), 70대 여성(1093명), 20대 여성(957명)순으로 1020대 청소년과 젊은 여성, 7080대 노년 여성에 집중됐다.

남 의원은 "'개말라', '뼈말라'라는 말을 듣고 무척 놀랐으며, SNS에서 뼈가 도드라질 정도의 마른 몸이 동경의 대상이 되고, 체중 감량을 위한 위험한 방식이 공유되고 있다"며 "WHO는 거식증을 가장 우선적으로 치료해야 할 청소년 질환 중 하나로 보고한 바 있으며, 사망률도 높아 초기에 개입해 신속한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프로아나족의 저연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10대는 신체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시기임에도 대중문화와 SNS가 부채질하는 '마른 몸 신환'에 엄청난 압력을 받으며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남인순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인 '최근 5년간 향정신성 식욕억제제 공급내역'에 따르면, 마약류인 향정신성 식욕억제제의 공급현황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5년간 공급금액이 6129억 6471만원, 공급량은 12억 1389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정신성 식욕억제제는 2015년 1158억 8120만원에서 2019년 1229억 3556만원으로 6.1% 증가했으며, 공급량은 2억 2361만개에서 2억 5296만개로 13.1% 증가했다.

현재 유통중인 향정신성 식욕억제제 성분은 디에틸프로피온, 마진돌, 펜디메트라진, 펜터민, 로카세린, 토피라메이트/펜터민 등 총 6종이다.

남 의원은 "심각한 부작용이 우려되는 마약류인 향정신성 식욕억제제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문제"라며 "식약처의 항정신성 식욕억제제 국내 허가사항은 BMI 30kg/㎡이상 또는 다른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BMI 27kg/㎡이상에서 사용하도록 정하고 있지만, 식약처의 ‘의료용 마약류 식욕억제제 안전사용을 위한 기준’의 처방 기준은 BMI 25kg/㎡ 이상, 다른 위험인자 있는 경우 BMI 23kg/㎡ 이상에서 사용으로 기준이 상이해 이해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OECD Health Statistics에 따르면, 국내 비만기준인 체질량지수(BMI) 25kg/㎡이상에서는 비만유병률은 OECD 평균 58.6%, 한국 34.3%로 나타났으나, WHO 비만기준인 체질량지수(BMI) 30kg/㎡ 이상에서 비만유병률은 OECD 평균 24.0%, 한국 5.9%로 크게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인순 의원은 “WHO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OECD 국가를 비롯한 외국에서는 30㎏/㎡ 이하를 비만으로 보는데, 우리나라는 체질량지수 25㎏/㎡ 이상으로 분류해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국내에서도 건강검진 비만기준과 국가통계의 비만기준이 다르고, 국내와 WHO의 비만기준이 달라 국민들께 혼란을 주고 있다”며, “기준에 따라 비만유병율도 다르고, 비만유병율이 다르면 건강 정책도 달라지며, 이는 의약품 사용과도 관련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남 의원은 “국제 기준보다 낮은 국내의 비만기준이 국민들의 마른 몸을 부추기는 것 아닌가 의구심이 들기 때문에, 관련 전문가 및 학회 등과 논의해 합리적인 기준 마련을 검토 할 것”을 주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