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PIA 이영신 부회장, 신약 접근성 높이기 위해 위험분담제 탄력운영 제안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혁신적인 신약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도록 선순환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OECD 평균을 기준으로 한 적정한 약가가 담보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환자들의 신약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 운영 중인 위험분담제(RSA)의 탄력적으로 운영 필요성도 제기됐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이영신 상근부회장.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이영신 상근부회장.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 이영신 상근부회장은 다국적제약 출입 기자단과 가진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영신 부회장은 지난해 상근부회장으로 취임한 이후 국내외 제약업계와 정부 및 각 이해관계들과의 소통하는 일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부회장은 KRPIA가 혁신적 신약의 가치가 인정되는 국내 보건의료제도 확립과 환자들에게 신속하게 혁신적인 신약의 접근성을 높이는데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약의 접근성을 높여 해외에서 개발된 혁신적인 신약이 환자들에게 신속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이 부회장은 ▲Innovation, ▲Sustainability, ▲Companionship 등 3가지 키워드를 통해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며 문제를 풀어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Partnership이 아닌, Companionship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단순 비즈니스 관계를 넘어서 ‘함께 가는 관계’를 만들기 위한 협회의 비전이 담겨 있다는 것이다.

이영신 부회장은 적정한 약가 산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약값은 무조건 낮아야 한다는 논리로 신약의 가치가 인정되지 않는 제도 및 환경이 만들어지면, 국내 기업 또한 신약을 개발하기 어려운 환경이 될 것"이라며 "혁신적인 신약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선순환이 이뤄지려면 적정한 약가가 담보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무엇이 적정 가격인지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있겠지만 한국을 포함한 선진국의 경우 OECD 평균가격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약가는 가격만의 문제가 아닌 환자에게 주는 가치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 KRPIA는 선진국인 한국이 OECD의 평균을 참조해 약가를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국내 초고가 신약들의 도입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바이오 의약품, 세포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등의 발전으로 고가 약제들이 계속 나올 것으로 전망한 이 부회장은 "KRPIA도 저렴한 약가로 치료제를 공급할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도 "지속적인 R&D가 이뤄지려면 혁신성에 대한 인정이 필요하다. 신약의 혁신성, 사회적인 필요성 등을 고려해 ICER 임계치를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정부, 회사, 환자 모두가 상생하는 방안은 위험분담제"라며 "위험분담제를 탄력 있게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초고가 약제도 위험분담제 틀 내에서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험분담제의 탄력적 운영을 제안한 이 부회장은 국내 위험분담제는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사례가 많지 않닥고 지적하면서, 각 나라별 위험분담제 운영 방식을 검토하고, 국내 도입 시 변형이 필요한지 등을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

정부가 발주한 연구용역을 분석한 해외 케이스는 적게는 10개에서 많게는 20가지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우 위험분담제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한 이 부회장은 "RSA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경우 환자가 혜택을 더 많이 볼 수 있다"며 "보험재정적인 면에서도 절약되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회장이 제시한 한 논문 내용에 따르면, 사망률이 1% 감소할 때마다 국가 전체가 누리는 사회적 가치는 최대 약 126조원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약가를 단순히 숫자로만 보기 보다는 사회적인 시스템에서 거시적으로 노동력 상실 및 환자 가족의 생활 등을 다각도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이 부회장의 설명이다.

한편, 최근 글로벌 제약업계 중심으로 동일 약제에 대한 적응증별 약가 적용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에 대해 이영신 부회장은 동일약제에 대한 적응증별 약가는 추가 적응증에 대한 환자의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고 강조했다.

그는 "호주 등 해외의 여러 국가에서는 적응증별 약가 제도를 도입해 시행 중이며, 이런 내용을 심평원과 공단에 이미 의견을 제출한 바 있다"며 "단일 약제에 대한 단일 약가를 표방하고 있는 국내 시스템 상에서 당장 적응증별 약가를 도입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향후 제도 도입을 위해 지속적으로 정부와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