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성 장연구학회 회장, 염증성 장 질환 치료제 늘수록 안전한 치료 가능 기대
천재희 세브란스병원 교수, 킨텔레스 아달리무맙 보다 높은 유효성·안전성 확인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염증성 장 질환(IBD)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 패러다임이 TNF-α 억제제에서 항인테그린 제제인 킨텔레스로 변화될 전망이다.

한국다케다제약은 12일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 치료제 킨텔레스(베돌리주맙)의 1차 치료제 급여 확대 기념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대한장연구학회 김주성 회장이 킨텔레스가 생물학적제제 보다 유효성과 안전성이 높아 환자들에게 임상적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대한장연구학회 김주성 회장이 킨텔레스가 생물학적제제 보다 유효성과 안전성이 높아 환자들에게 임상적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대한장연구학회 김주성 회장(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원장)은 염증성 장 질환 치료 환경의 한계점과 치료 체계의 아쉬움을 나타냈다.

김 회장은 "궤양성 대장염이나 크론병 환자들은 결핵, 기회감염 등에 취약해 이런 감염 위험은 환자의 장기적인 치료를 방해하는 대표적인 요인"이라며 "장기적으로 관해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전성 프로파일도 함께 고려해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회장은 "염증성 장 질환은 대변 절박증이나 복통으로 인한 고통이 큰 질환인 만큼 적시에 알맞은 치료제를 사용해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는 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사용 가능한 치료제가 늘어날수록 의료진이 환자들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할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킨텔레스의 역할을 기대했다.

신촌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천재희 교수는 최근 킨텔레스의 임상연구 결과와 예상되는 임상적 혜택에 대해 설명했다.

천 교수는 "중증도-중증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TNF-α 억제제 중 하나인 휴미라(아달리무맙)와 킨텔레스의 효과를 직접 비교한 임상연구에서 킨텔레스가 임상적 관해 및 장 점막 치료 효과가 우월함을 확인한 바 있다"며 "심각한 감염과 부작용 비율도 TNF-α 억제제인 휴미라보다 낮았기 때문에 안전성 프로파일 측면에서도 주목해야 할 결과"라고 강조했다.

킨텔레스의 VARSITY 연구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킨텔레스와 휴미라의 효과를 직접 비교한 임상연구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킨텔레스로 치료받은 환자의 임상적 관해 비율은 52주차에 31.3%(n=120/383)였으나 휴미라로 치료받은 대조군의 임상적 관해 비율은22.5%(n=87/386)에 그쳤다(p=0.006). 

또한, 킨텔레스로 치료 받은 환자 중 39.7%(n=152/383)가 장 점막 치유 효과를 보인 것과 달리 휴미라군에서는 27.7%(n=107/386)만이 효과를 확인해 킨텔레스가 통계적으로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p<0.001).

국내에서 허가받은 IBD 1차 치료제 중 유일한 항인테그린 제제인 킨텔레스는 장 염증을 유발하는 백혈구의 α4β7 인테그린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기전으로, 장으로 유입되는 염증세포를 차단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즉, 확인된 전신 면역 억제 작용이 없고, 장에만 작용하기 때문에 결핵이나 감염 위험이 기존 치료제보다 적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킨텔레스의 다양한 임상 연구를 바탕으로 최근  미국소화기학회(AGA)는 생물학적 제제로 치료를 시작하는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경우 킨텔레스와 램시마(인플릭시맙)을 권장하기도 했다.

한편, 염증성 장 질환은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대표적이며 원인을 알 수 없는 염증이 장관 내에 발생하는 만성질환이다. 
2019년 기준 국내 궤양성 대장염 환자는 4만6681명, 크론병은 2만4133명을 기록했으며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에서 발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킨텔레스는 2017년 국내에 출시됐으며, 현재 세계 72개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