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과기부, 사업운영위원회 심의·의결 통해 사업단 선정…예비타당성 통과
치매 원인규명, 예측 및 진단, 예방 및 치료기술 증 3개 분야 연구개발 나서

이미지출처: 포토파크닷컴

[메디칼업저버 정윤식 기자] 정부가 전주기 치매극복기술 개발을 위해 9년간 2000억원에 가까운 자원을 투입한다.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 치매연구개발 중장기 추진전략에 따라 치매 예방·진단·치료 등에 걸친 종합적 연구개발(R&D)을 지원하기 위해 '치매극복 연구개발 사업단' 출범한다고 3일 밝혔다.

앞서 복지부와 과기부는 상반기 사업단(장) 공무 과정과 서면 및 구두 평가, 현장실사 등을 거쳐 최종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운영위원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사업단을 선정했다.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은 치매 질환 극복기술 개발을 위해 복지부와 과기부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2019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2020년에서 2028년까지 총사업비 1987억원(국비 1694억원)을 투입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사업단은 크게 3개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치매 극복을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할 방침이다.

우선, 치매 원인규명 및 발병기전 연구에 국비 451억원이 투입된다.

치매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근본적인 원인과 발병기전이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병원인 및 기전 규명, 치매오믹스 분석 등 4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가 해당된다.

이어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에는 508억원의 국비를 지원한다.

중점 세부기술 연구분야는 8개로, 치매를 발병 전에 예측하거나 발병 초기에 진단하기 위한 혈액, 체액기반 치매 조기진단기술, 영상진단기술 고도화 등을 말한다.

끝으로 새로운 치매 발병 가설에 기반한 신규 치료제 개발이나 치매 위험인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예방기술 개발 등 치매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치매 치료제 개발, 뇌내 약물전달 기술개발 등 3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 연구를 지원하는 데 국비 609억원이 쓰인다.

세부 분야별 연구과제는 예비타당성 조사 시 기획한 연구계획을 바탕으로 사업단에서 현재 글로벌 동향 등을 반영해 세부기획안을 마련한 뒤 8~9월 중 국내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공무를 진행해 선정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단 운영으로 정부는 치매 발병을 5년 지연하고 연간 치매 환자 증가속도를 50% 감소시킴으로써 치매로 인한 국민들의 사회경제적 부담이 경감될 것으로 기대했다.

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사업단이 기초연구가 실용화로 연계되는 가교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치매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치매로부터 안심할 수 있는 사회 건설을 가속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기부 고서곤 기초원천연구정책관도 "치매는 증상이 일정 수준 진행되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조기 진단·치료기술 확보가 핵심"이라며 "복지부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전주기 사업단을 통해 국민 치매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