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이지원·이지훈 교수팀, 어린 연령 검사 원인유전자 찾을 확률 높아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영아 대상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이 뇌전증 원인에 대한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지원·이지훈 교수.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지원·이지훈 교수.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지원·이지훈 교수 연구팀은 유전자 패널검사로 생후 6개월 미만일 때 뇌전증이 발병한 영아 환자 중 뇌 MRI가 정상인 환자의 약 50%에서 원인유전자를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뇌전증으로 진단받은 2세 이하 영아 환자 중 뇌 MRI 검사 결과가 정상인 환자 116명을 대상으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유전자 패널검사를 시행했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은 소량의 혈액으로 다수의 유전자를 한 번에 검사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환자에게 시간과 비용 면에서 효율적인 검사 방식이다.

연구팀은 환자의 발병 나이에 따라 유전자 패널검사를 통해 원인유전자를 찾을 확률이 다르다는 점에 주목했다.

연령별 뇌전증 원인유전자를 찾은 2세 이하 환자는 34.5%(40/116명), 1세 이하는 39.6%(40/101명), 6개월 이하는 50%(36/72명) 였다.

뇌전증 환자는 발달지연을 동반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다. 

이 여부에 따라 원인유전자를 발견할 확률은 뇌전증 환자 중 발달지연 환자와 정상 발달로 확인된 환자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발달지연 환자는 36.4%(24/66명), 정상 발달 환자는 32.7%(16/49명) 였다.

과거 뇌 MRI가 정상인 경우에는 원인을 찾지 못한 ‘비증후성’ 혹은 ‘원인 미상의’ 뇌전증으로 진단 받고 경험적인 항뇌전증약제 치료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원인유전자 변이에 따라 적절한 약제를 선택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예후가 좋은 양성뇌전증증후군 환자 13명을 조기에 진단해 이에 적합한 약제를 최단기간에 사용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또,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도 나중에 태어난 형제는 초기에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이지원 교수는 “아직도 원인을 찾지 못하는 환자가 50%가 넘는 것이 현실이어서 가야할 길이 멀지만, 현재 진행하고 있는 가족성 유전체 연구 등을 통해 향후 더 많은 원인 유전자를 찾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며 “더욱 효과적인 맞춤형 치료를 실현하기 위해 현재 원인 유전자가 밝혀진 환자의 표현형을 발현하는 세포 모델을 제작해 치료제를 스크리닝하는 연구를 진행중”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지훈 교수는 “어린 연령에 발작이 발생해 뇌전증으로 진단 됐을 경우 부모님에게는 너무나 큰 일이고 가족 모두 걱정을 많이 하게 된다. 소아청소년과 임상 의사의 진단 능력을 통해 뇌전증 원인 유전자를 밝히게 되면 치료약제 선택에 결정적인 도움이 되고, 앞으로 커가면서 어떠한 예후를 갖게 되는지에 대해 어느 정도 예상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최근 국제학술지 <Molecular Genetics & Genomic Medicine>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