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A, 국내사서 허가부터 약가, 영업·마케팅 계획까지 담당
글로벌 제약사선 '핵심인재', 국내선 '숨겨진 인재' 취급

 

[메디칼업저버 양영구·박선혜 기자] 일반적으로 제약사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주요 업무는 의약품 개발과 판매다.
 
하지만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꼭 필요한 업무가 있다. 바로 RA(Ragulatory Affairs)와 MA(Market Access)다. 

RA는 의약품의 허가와 사후관리를 위한 업무를 말한다. 

연구와 개발 단계를 거친 의약품은 보건당국에 허가를 신청하고 시판승인을 받기까지 수많은 서류작업을 보완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이 업무를 RA 담당자가 맡는다. 

물론 시판승인을 받은 의약품의 재심사나 부작용 보고와 같은 사후관리도 RA의 몫이다. 연구소나 개발팀에서 공들여 만든 제품을 영업사원이 판매할 수 있는 제품으로 탄생하게끔 도와주는 가교 역할을 하고, 제품화 이후 상품가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중요한 업무를 담당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MA는 신약 또는 제네릭 의약품의 보험약가를 받기 위한 자료 준비와 국민건강보험공단과의 조율 업무를 담당한다. 

국내에서는 제약사마다 적게는 1명에서 많게는 10명 안팎의 인력이 RA와 MA 업무를 담당한다. 

이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제도에 기민하게 대응할 줄 알아야 한다. 

허가제도와 약가제도가 조금이라도 변경되면 신속하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은 제약사 안에서 '핵심 인재'로 평가받기도 한다. 

글로벌 제약사에서는 RA와 MA의 업무 역량에 따라 회사 매출이 좌지우지되는 만큼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들의 역할이 그다지 돋보이지 못한다.

메디칼업저버는 창간 19주년을 맞아 국내 제약사 RA, MA 담당자들과 오픈 채팅을 진행했다. 채팅에는 어디서약을팔아, 남조선약쟁이, 약쿠르트, 소약행, 고난의연속 님이 참여했다. 

① 허가부터 약가, 영업마케팅 계획까지 담당하는 RA·MA 
② 계단식 약가정책, 국내사 신약개발에 악영향

#국내사_RA_MA_뭔데

남조선약쟁이: RA는 초기 임상부터 허가까지 담당하고 있어 의약품 정보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이와 달리 MA는 약가를 맡고 있어 영업과 마케팅을 신경써야 한다. 

소약행: 상대하는 관(官)에 따라 나뉘기도 한다. RA는 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를 상대하고, MA는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활동 영역이다.

어디서약을팔아: 물론 큰 회사는 RA와 MA를 나누는 경우도 있지만, 국내사는 주로 RA를 중심으로 업무가 움직인다. 회사 규모가 작을수록 RA가 MA 업무까지 같이 한다고 보면 된다.

남조선약쟁이: 회사에 필요한 업무를 받아 움직이다 보니 RA 담당이 된 거지, 사실 난 개발부에서 처음 일을 시작했다.

고난의연속: 나도 처음엔 외국계 제약사에서 영업을 했었다. 그러나 국내 업계로 오면서 개발팀에서 라이센싱, 제네릭 개발 등 사업개발을 담당하게 됐다. 지금은 약가까지 담당한다.

어디서약을팔아: 조직은 업무 특성에 맞게 쪼개지는 게 특징이다. 회사가 작으면 인력이 적으니 모든 업무를 해야 하는 건 숙명 아닐까.

약쿠르트: 국내사는 제네릭의 비중이 크다 보니 신약보다 약가에 대한 집중도가 적어 MA의 역할이 작다고 생각한다. 요즘에는 정부 차원의 제네릭 약가제도 개선이 이뤄지면서 MA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남조선약쟁이: 국내 약가제도가 과거와 비교해 많이 변화하면서 제네릭이라도 예상 약가를 받지 못하면 죽어버린다. 그래서 MA의 역할이 강조되는 것 같다.

#라떼_이즈_홀스 (나 때는 말이야)

약쿠르트: 아무래도 내가 담당했던 품목이 시장에 나와 잘 나간다는 소리를 들을 때 보람을 느낀다. '내가 저 품목을 시장에 내기까지 이런 업무를 했었지~' 하는 게 있다. 노력한 만큼 성취감도 있고 기분도 좋다. 

고난의연속: 회사에서 적당히 하고 포기하라고 말했지만 좀 더 해보겠다고 고집부린 기억도 있다. 당연히 실패의 쓴맛을 봤지만, 내 업무에 대한 만족도는 더 커졌다.

남조선약쟁이: 최근에는 워라밸이 중시돼서 그런지 요즘 친구들은 '받는 만큼만 일한다'는 마인드가 있는 것 같다. 근무 시간과 상관없이 일하라는 게 아니라 맡은 일은 꼭 해내고야 말겠다는 목표의식이 없어지는 것 같다. 어쩌면 이게 시대적 흐름인데 내가 꼰대(?)가 되는 과정인 것 같기도 하다.

약쿠르트: 내가 막내일 때는 식약처 앞에 쭈그려 앉아 허가가 나기만 기다리기도 했고, 정부 담당자를 설득하려 노력도 했었다. 후배들은 그런 시도조차 하지 않는다. 

소약행: 88올림픽을 기준으로 이전은 개도국, 이후는 선진국이라고 하더라. 개도국에서 태어난 사람들이 선진국 사람들을 통제하려니 이해가 안 되는 것 아닐까.

어디서약을팔아: 난 좀 다르게 생각한다. 세상이 변한거다. 열정을 갖고 일한다고 느껴지는 후배 직원들이 많이 없기도 하지만, 우리가 하지 못했던 불공평에 대한 불만을 요즘 친구들은 솔직하게 이야기 한다. 이전과는 다른 분위기가 된 것이다.

남조선약쟁이: 그런 거 같다. 우리 때는 첫 직장을 평생 직장이라고, 또 평생 직업이라고 생각했다. 요즘은 '내가 이 회사 사장까지 해보겠다'는 생각은 안 하지 않나.

어디서약을팔아: 이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한편으론 이해가 되기도 한다. 우리가 그들에게 바라는 게 있는 것처럼 그들도 우리에게 기대하는 게 있을 거다. 서로 눈높이를 맞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할많하않 (할 말은 많지만 하지 않겠다)

남조선약쟁이: 높아진 수준. 글로벌 제약사는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여러 적응증을 두고 임상 3상을 진행하는 데 비해 우리는 그럴 돈이 없다. 우리는 적응증 하나를 겨우 받아 허가받고 판매수익으로 또 다른 적응증에 대한 임상을 진행하는 상황이다. 그런데 규제 당국은 글로벌 제약사를 기준으로 삼고 우리에게 왜 신약개발을 하지 못하냐고 닦달한다.

약쿠르트: 심평원도 마찬가지다. 글로벌 제약사는 100을 하는데 왜 너희(국내사)는 20밖에 못하냐고 한다. 우리는 많이 고민하고 임상을 진행한 건데 우리의 노력이 폄하되는 것 같아 아쉽다.

고난의연속: 국내사들이 임상에 가치를 두기 시작한 게 얼마 안 됐다. 정부에서 신약개발을 외치니 이제서야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최근에는 약가 이슈가 떠오르니 RA와 MA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그동안 RA와 MA의 중요성을 몰랐던 셈이다. 상황이 이러니 담당자들은 우리가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부터 든다. 

소약행: MA 업무를 제대로 학습하지 못한 국내사가 대부분이다. 적응증을 획득하더라도 시장에 내놓을 때 가장 낮은 약가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임상부터 약가까지 모두를 아우르는 시각이 없으니 100억원이 투입된 프로젝트임에도 너무 쉽게 접근하는 것이다. MA 업무를 경험하지 못했으니 교육도 안 된다. 회사 차원에서 인력, 시스템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