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물품·기기 고도화, 연구·생산 인프라 구축 등 포함 총 1936억원 투입
추경사업 신속 집행 계획 세워…개발 지원대책 주요 과제 추진상황도 점검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

[메디칼업저버 정윤식 기자] 정부가 최근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한 코로나19(COVID-19) 치료제 및 백신 등의 개발을 위한 관계부처 추가경정예산을 두고 집행계획을 논의했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위원회 제 4차 회의가 9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렸다.

이날 관계부처가 논의한 추가경정 예산 1936억원의 주요 내용은 치료제·백신 개발, 방역물품·기기 고도화, 연구·생산 인프라 구축, 인체 데이터 활용여건 조성 및 특허, 국제포준화 지원 등이다.

우선, '치료제·백신 개발'에 1115억원이 투입된다.

임상시험 전주기 지원의 경우 보건복지부가 940억원을 담당하고 항체 및 혈장 치료제, 백신 3대 플랫폼 기술 등을 중심으로 개발 기업에 대한 임상시험 단계별(1~3상) 예산을 지원한다(치료제 450억원, 백신 490억원). 

바이오·의료기술 개발 175억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치료제·백신 후보물질 발굴(10개)과 효능·독성평가 등 전(前)임상 지원에 투입한다.

'방역물품·기기 고도화'에는 357억원이 지원된다.

KAIST 플랫폼을 활용해 학계·연구계·산업계에 흩어져 있는 기술역량을 결집해 기업과 함께 감염병 대응 솔루션 개발 및 글로벌 산업을 추진하는데 222억원(과기부), 전세계적 수출붐 계기 세계시장 경쟁력 강화 및 팬데믹 진정 이후 세계시장 선점기업과 경쟁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을 지원하는데 135억원(복지부)이다.

구체적으로 감염병 방역기술개발 85억원, 의료기술 상용화 지원센터 30억원, 의료기기 경쟁력 강화 20억원 등이다.

이어 '연구·생산 기반 인프라 구축'에 391억원이 투입되는데 이 중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43억원(복지부)은 국립감염병연구소로의 기능 확대에 따른 필요 장비 강화 및 조기 확충에 쓰인다.

163억원(복지부)은 확진자 유전자 분석을 통한 분석기술 고도화 및 확진자 유전자 데이터 생산·활용체계 구축에, 36억원(복지부)은 치료제·백신 신속개발을 위한 임상시험 지원체계 구축에, 100억원(복지부)은 기업의 치료제·백신 생산시설·장비 구축 지원에 사용된다.

나머지 49억 원(산업통상자원부)은 백신실증지원센터 내 백신과 치료제 제조 장비 구축에 편성됐다.

끝으로 '인체 데이터 활용여건 조성 및 특허 국제표준화 등 지원'에 73억 원이 쓰인다.

이는 감염병 의료기술 근거생성 연구(8억 원, 복지부), 국가표준기술 개발 보급(30억 원, 산자부), IP-R&D 전략지원(35억 원, 특허청) 등으로 나뉜다.

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등 개발 지원대책을 발표한 후 한 달여 동안 치료제와 백신 개발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조치들을 추진했다"며 "안전성과 유효성을 갖춘 국산 치료제와 백신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공모기간 단축 등을 통해 추경예산 사업을 신속하게 집행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과기부 최기영 장관도 "지원대책 추진과정의 면밀한 검토와 평가를 통해 보다 세부적이고 현장에 효과가 있는 지원 대책을 실행하는데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장관은 이어 "대응을 계기로 국가 경쟁력을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도록 감염병, 의료기기, 바이오 빅데이터, 신약개발 등 바이오 분야 전반에 대해 전략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