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강모열 교수팀, 국건영 자료 활용해 교육수준과 건강상 미취업 관계 분석
저학력자가 건강문제로 일하지 못할 확률 고학력자보다 2.54배 높아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강모열 교수.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강모열 교수.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건강상 이유로 미취업 상태인 인구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강모열 교수(교신저자), 정지윤 전공의(제1저자)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0~2016년)를 활용해 건강문제로 일상생활에 제한이 없는 30~79세 성인 2만 9930명을 대상으로 교육수준과 건강상 이유로 미취업 상태(이하 건강 관련 퇴직)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모든 연령대에 걸쳐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건강 관련 퇴직 인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교육수준을 △중졸 이하 △고졸 △대졸 이상 등 세 가지로 구분해 그룹별 건강 관련 퇴직비율을 분석했다. 고학력자 그룹과 비교해 저학력자 그룹에서 건강이 좋지 않아 일하지 못할 확률은 2.54배 높았고, 남성의 경우 약 1.86배, 여성의 경우 1.48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모든 연령대에 걸쳐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건강 관련 퇴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 분류: 저(Low)-중졸 이하, 중(Intermediate)-고졸, 고(High)-대졸 이상.
▲모든 연령대에 걸쳐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건강 관련 퇴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 분류: 저(Low)-중졸 이하, 중(Intermediate)-고졸, 고(High)-대졸 이상.

여성의 경우 대졸 이상 그룹을 기준으로 고졸 그룹, 중졸 이하 그룹 간 차이가 더 작게 나타났다. 이는 남성에 비해 여성의 건강 관련 퇴직 비율이 높은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남성 4.91%, 여성 18.63%). 

즉 여성 근로자는 건강상 이유로 미취업 상태인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향에 있어 학력에 따른 차이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는 가설로, 먼저 교육수준이 높은 노동자들의 경우 인지 능력을 발달시킴으로써 금주, 금연, 운동습관 등 건강행동을 형성하고 유지하며 건강한 생활방식을 위한 사회·경제적 자원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했다. 

이와 함께 저학력자는 고학력자보다 육체적으로 힘든 일자리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실제 본인의 건강상태가 나쁘지 않거나 고학력자와 차이가 없더라도, 배정된 업무의 높은 육체적 요구수준 때문에 퇴직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이 자신의 건강상태가 평균 이상이라고 답한 사람들만 대상으로 건강상 이유로 미취업 상태인 비율을 분석한 결과, 저학력자 그룹에서 '건강상의 이유로 미취업'인 비율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아울러 한국의 취약한 사회·경제적 안전망이 교육수준에 따른 건강 관련 퇴직의 차이를 보이는 이유일 수 있다고 제시했다. 이번 연구에서 연령대별 취업인구 비율을 확인한 결과, 고학력자는 저학력자에 비해 젊은 나이에 취업에 성공했고 60세 이후에는 미취업 상태의 비율이 더 높았다.

고학력자의 미취업 이유는 ‘일할 필요가 없어서’, ‘정년퇴직’ 등이었다. 반면 저학력자는 건강상태가 허락하는 한, 노동시장에 머무르다가 건강이 안좋아져 일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됐을 때 퇴직하는 경향을 보였다.A: 남여전체 고학력자, B: 남여전체 저학력, C: 남성 고학력자, D: 남성 저학력자, E: 여성 고학력자, F: 여성 저학력자.
▲고학력자의 미취업 이유는 ‘일할 필요가 없어서’, ‘정년퇴직’ 등이었다. 반면 저학력자는 건강상태가 허락하는 한, 노동시장에 머무르다가 건강이 안좋아져 일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됐을 때 퇴직하는 경향을 보였다.A: 남여전체 고학력자, B: 남여전체 저학력, C: 남성 고학력자, D: 남성 저학력자, E: 여성 고학력자, F: 여성 저학력자.

고등교육 그룹의 미취업 이유는 저학력자 그룹의 비근로자와 다른 분포를 보였는데, '일할 필요가 없어서' 혹은 '정년퇴직'의 이유로 퇴직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교육을 덜 받은 참가자들은 건강상태가 허락하는 한 노동시장에 머무르다가 건강이 안 좋아져 일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됐을 때 퇴직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건강상의 이유로 일을 할 수 없다는 것은 가계소득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는 주요 사건인 동시에, 노동자를 사회적·의학적 취약계층으로 이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이런 장해퇴직이 노동자의 교육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강모열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교육수준과 장해퇴직 사이에는 명확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건강이 좋지 않은 이유로 일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며 "취약한 사회집단이 오랫동안 노동시장에 남아 소득을 유지하면서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Safety and Health at Work 6월호에 실렸다(Saf Health Work 2020;11(2):159-164).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