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조직분석 시스템 루닛 스코프로 암 유전체 아틀라스 DB 분석...AACR서 논문 발표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루닛(대표이사 서범석)은 미국암학회(AACR) 연례학술대회서 인공지능(AI) 바이오마커의 유효성을 입증한 연구논문을 발표한다고 23일 밝혔다. 

루닛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AACR 포스터 발표로 선정, 연구 내용을 공개하게 됐다. 

루닛은 미국 노스웨스턴메디신, 삼성서울병원 소속 연구원들과 함께 이번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팀은 AI 바이오마커에 따른 면역 형상 분류를 유전체 데이터와 연관시켜 분석, AI 바이오마커의 유효성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자체개발 AI 기반 조직분석 시스템 루닛 스코프를 통해 암 유전체 공개 데이터베이스 중 국제 암 유전체 컨소시엄 데이터(TCGA)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H&E 슬라이드르르 분석했다. 

TCGA 비소세포폐암 각 환자군은 루닛 스코프 기반 분류에 따라 종양미세환경을 '면역활성(inflamed)', 면역 제외(excluded), 면역 결핌(desert) 등 3가지로 나눴다. 

이어 각 분류에 따른 면역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유전체 변이 및 발현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루닛 옥찬영 부서장은 “특히 면역 활성 및 면역 제외의 경우 기존 면역항암제의 바이오마커로 알려져있는 PD-L1 발현과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지만, 항종양 면역세포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알려진 CD8-양성 T세포 및 대식세포(Macrophage)의 분율은 면역 제외군보다 면역 활성군에서 높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표적항암제의 치료예측 바이오마커로 알려진 EGFR, ALK, ROS1, RET, 그리고 MET 유전체 변이의 경우, 대부분 면역 제외 및 면역 결핍으로 분류됐다"며 "이는 올바른 맞춤의료를 위해서는 개별 환자의 유전체 분석과 함께 루닛 스코프 기반 면역 형상 분석도 동시에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