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전반에 걸친 연구개발 컨트롤 타워 역할 하려면 복지부 직접 소속기관 돼야
복지부 여러 연구사업과 융합될 것…청 소속의 감염병 역학연구 별도 조직은 필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월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를 방문해 격려하고 있는 모습. (사진: 청와대)

[메디칼업저버 정윤식 기자]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이 질병관리청 승격과 동시에 진행될 국립보건연구원의 복지부 이관 문제와 관련해 연구개발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위해서는 필요한 조치라는 입장을 밝혔다. 

보건연구원을 질본에서 분리해 복지부 소속으로 이관하는 행정안전부의 계획에 표면적으로 동의한다는 것이다.

단, 감염병에 대한 역학조사법 개발과 감염병 실태조사, 공중보건연구 등 질병관리청이 되더라도 일부 연구기능은 별도로 조직해 청 소속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정은경 본부장은 4일 중앙방역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보건연구원의 복지부 이관은 현재 복지부가 갖고 있는 여러 연구 사업들과 보건연구원의 연구 사업을 통합시켜 좀 더 포괄적으로 진행·발전시키기 위해 진행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본부장은 "보건연구원이 담당하고 있는 연구는 감염병을 포함해 유전체나 재생의료 같은 보건의료 전반에 대한 연구 기능이다"라며 "이는 현재 복지부가 갖고 있는 다양한 사업과 어느 정도 통합돼 포괄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을 했다"고 말했다.

즉, 보건연구원은 보건의료 연구개발의 컨트롤타워로서 지금보다 더 조직이 크고 전문화돼야 해 복지부로 이관하게 됐다는 게 정 본부장의 설명이다. 

하지만 보건연구원 이관이 질병관리청의 연구기능을 없애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청에 필요한 연구기능은 현재 보건연구원의 연구 성격과는 조금 다른 질병관리를 잘할 수 있는 역학적인 연구들 즉, 역학조사 모델링 예측 및 방법론 개발, 감염병별 실태조사 등이다"며 "이 같은 공중보건연구를 별도로 확대해 청 소속 연구조직으로 만드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다시 말해, 감염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및 기전 연구 △임상 연구 △백신·치료제 개발 연구 △재생의료 △유전체 연구 등 보건의료 성격의 연구는 보건연구원이 복지부와 융합해 소화하고, 질병관리청은 신설되는 질병대응센터를 토대로 여러 공중보건조사 연구와 역학조사 관련 연구를 담당하는 곳으로 구분된다는 뜻이다.

그는 "감염병 연구는 다양한 분야가 있을 수 있는데, 보건연구원이 수행하는 연구와 질병관리청의 연구가 성격이 다르다고 보면 된다"며 "조직 구성과 인력 확대 등과 관련해서는 행안부와 계속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어차피 감염병 연구는 감염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안에 집중하는 연구가 우선이기 때문에 질병관리청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