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오용석 교수팀, 10년간 4만 2075명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빅데이터 분석
승모판협착증 발생률 감소세…뇌경색 발생 위험은 감소하지 않아 주의 필요

서울성모병원 오용석 교수.
▲서울성모병원 오용석 교수.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국내 승모판협착증 환자 3명 중 2명은 심방세동을 동반한 것으로 분석됐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심뇌혈관병원 오용석 교수(교신저자), 의정부성모병원 순환기내과 김주연 교수(제1저자)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빅데이터를 이용해 국내 승모판협착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10년간 발생률 및 치료 트렌드를 분석한 대규모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007~2016년 승모판협착증을 진단받은 환자 4만 2075명을 분석한 결과, 66.1%(2만 7824명)가 심방세동을 동반하고 있었다. 10만명당 승모판협착증 발생률은 2008년 10.3명에서 2016년 3.6명으로 급격히 감소했다.

국내 승모판협착증 10만명당 연간 발생률.
▲국내 승모판협착증 10만명당 연간 발생률.

심방세동을 동반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항응고제 치료율은 2008년 58.4%에서 2016년 83.1%로 늘었다. 항응고제는 아직 와파린 등 비타민K 길항제 경구용 항응고제만 승모판협착증을 동반한 심방세동에서 인정되고 있다. 

항응고제 또는 항혈소판제 등 치료를 받지 않는 환자는 2008년 23.7%에서 2016년 6.3%로 감소했다. 이는 심방세동을 동반한 승모판협착증 환자에게 항응고제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뇌경색 발생 위험률은 감소하지 않아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승모판협착증 환자 중 16.5%(6965명)에게 혈전색전증이 나타났으며, 이중 3.8%(1606명)은 두개내 출혈이 있었다. 

허혈성 뇌졸중 및 전신 색전증은 심방세동을 동반한 승모판협착증 환자의 경우 2008년 2.19%에서 2016년 2.26%로, 심방세동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각각 0.26%, 0.3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두개내 출혈은 심방세동을 동반한 승모판협착증 환자의 경우 2008년 0.43%에서 2016년 0.72%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뇌경색 예방 치료법을 확립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으로 풀이됐다. 

심방세동을 동반한 승모판협착증 환자 대상 항응고제 치료 경향 .
▲심방세동을 동반한 승모판협착증 환자 대상 항응고제 치료 경향 .

오용석 교수는 "기존 와파린 등 비타민K 길항제만으로는 승모판협착증에서 발생한 심방세동에 의한 뇌졸중과 두개내 출혈을 예방하는 기본적 치료법으로 부족한 점이 많다"며 "승모판협착증이 없는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 두개내 출혈의 감소 효과가 와파린보다 우월한 비-비타민K 길항제 경구용 항응고제(NOAC)를 이용한 치료법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BMJ Journals Heart 5월호에 실렸다(Heart 2020 May;106(10):746-750).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