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동탄성심 이정아 교수 연구팀 연구결과
뇌 기능 회복율은 4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노인층 정확도 낮아…관련 교육 체계 필요"

[메디칼업저버 전규식 기자] 심폐소생술을 정확한 방법대로 실시하면 환자의 생존 퇴원율은 3배 가까이, 뇌 기능 회복율은 4배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이정아 교수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이정아 교수

한림대동탄성심병원은 이정아 교수(응급의학과) 연구팀이 '일반인에 의한 심폐소생술 정확도와 관련된 요인' 연구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논문은 SCIE 저널인 국제응급의학회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스마트 의료지도 시범사업의 코호트 자료에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18개 지역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에 대한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2491건을 분석했다.

심폐소생술 정확도는 심정지 발생 후 환자 주변 일반인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실시될 때 현장에 도착한 구급 대원이 평가하도록 했다.

가슴을 압박하는 손의 위치가 정확하고, 분당 압박 횟수는 최소 100회, 압박 깊이는 최소 5cm인 경우 정확한 심폐소생술로 분류했다. 이 중 한 가지라도 충족시키지 못 하면 부정확한 심폐소생술로 기록했다.

분석 결과 일반인에 의한 2491건의 심폐소생술 중 정확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는 149건으로 전체의 6%에 그쳤다. 

일반인 구조자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정확도가 낮아졌다. 40세 미만은 9.1%, 40대는 7.7%, 50대는 6.5%, 60대 이상은 2.2%다.

정확한 심폐소생술은 환자의 생존 및 신경학적 예후에 영향을 끼쳤다.

정확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생존 퇴원율은 2.8배, 신경학적 회복율은 4.3배 증가했다. 60세 이상 일반인 구조자가 올바른 심폐소생술을 했을 때는 환자의 생존 퇴원율이 4.4배, 뇌 기능 회복율이 7.6배까지 높아졌다.

생존 퇴원은 식물인간 등의 상태로 퇴원한 환자들이 포함된다. 신경학적 회복은 보호자 없이 독립적으로 생활이 가능한 정도를 말한다. 심폐소생술은 신경학적 회복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는 119 상황실에서 심폐소생술 방법을 알려주는 전화 도움 심폐소생술이 2011년 도입됐다. 이 결과 일반인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크게 늘어 2008년 1.9%에서 2018년 23.5%로 증가했다.

이번 연구에서도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한 비율은 58.7%로 아시아 17.3%, 프랑스 19.4%, 덴마크 34.9% 등 다른 연구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 교수는 "고령층에서 심폐소생술 정확도가 낮게 나타난 건 이들이 신체적으로 약하고 은퇴 후 심폐소생술 교육 참여 기회가 적어 지식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고령화로 인해 노인 인구가 급속히 늘고 있는 만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심페소생술 교육이 강화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