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사호석 교수·美엠디엔더슨 연구팀, AJCC로 안와육종 병기 유용성 평가
"맞춤형 치료와 암 재발 조기발견 위한 주기적 검사로 치료 효과 상승 기대"

서울아산병원 안과 사호석 교수(왼쪽 첫 번째)가 안와육종 환자의 수술을 집도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안과 사호석 교수(왼쪽 첫 번째)가 안와육종 환자의 수술을 집도하고 있다.

[메디칼업저버 송인하 기자] 안와육종의 병기 분류 및 예후 예측인자로 치료 계획을 세우고, 수술 후 재발 여부의 조기 발견을 위한 검사 주기를 적용하면 안와육종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아산병원 사호석 교수(안과)와 미국 엠디엔더슨 암병원 연구팀이 안와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 검사와 최신판 암 병기 결정 기준인 8차 미국암연합위원회(AJCC)를 통해 안와육종 병기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하고 중요한 예후 예측인자들을 제시했다. 

머리뼈 속 안구가 들어있는 공간에 생기는 안와육종은 발생 시 눈이 돌출되거나 물체가 이중으로 겹쳐 보이게 된다. 진단이 늦어지면 시력을 잃을 수 있는 악성종양이다.

안와육종은 희귀하고 조직학적으로 다양하기 때문에 기존 AJCC의 안와육종 병기 체계가 유용한지 검증이 어려웠으며 치료 및 경과 관찰의 표준화된 관리가 불분명했다. 

이번 연구는 안와육종을 진단받은 환자들 중 수술, 방사선, 항암 치료 등을 시행 후 장기간 경과 관찰이 가능한 환자 73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치료 전 시행한 병리조직학적 및 영상의학적 검사를 통해 안와육종 양상(T병기), 림프절전이(N병기) 혹은 전신전이(M병기) 유무를 확인했다. 이어 최신판 8차 AJCC 개정안에 근거해 안와육종 병기를 모든 환자에서 평가해 치료 결과와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안와육종의 침범 양상을 반영하는 T병기는 암의 국소재발, 림프절전이, 전신전이 및 사망의 위험과 관련 있었다. T3병기 이상의 안와육종은 전신전이 위험이 3.24배, 사망 위험이 6.32배 증가해 예후가 더 좋지 않았다.

또 N1병기 이상의 치료 전 림프절전이가 있으면 전신전이 위험이 13.33배, 사망 위험이 7.07배로 증가했다. 이 밖에도 안와육종 크기가 3cm 이상이거나 포상횡문근육종 등 조직학적 진단도 전신전이와 사망 위험을 높이는 예후 인자로 확인됐다. 

수술 전 MRI 검사에서 왼쪽 안와의 외직근에 발생한 안와육종의 모습(왼쪽)과 수술 후 안와육종이 제거된 모습
수술 전 MRI 검사에서 왼쪽 안와의 외직근에 발생한 안와육종의 모습(왼쪽)과 수술 후 안와육종이 제거된 모습

이는 안와육종의 병기를 정확히 특정하고 다양한 예후 인자를 분석해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면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고, 재발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검사를 자주 시행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높이고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사호석 교수는 "안구, 시신경, 외안근육 등이 위치한 안와 공간 내에 생기는 안와육종은 눈의 기능뿐만 아니라 생명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과 병기, 예후 인자를 평가해 환자 맞춤형 치료와 재발의 조기발견을 위한 경과 관찰로 안와육종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연구 결과는 안와육종 환자의 예후를 평가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시해 환자들의 적극적인 치료를 유도하고, 안와육종의 재발을 줄여 생존율을 높이는데 도움 되는 참고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달 27일 JAMA Ophthalmology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