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섭 디지털헬스케어연구소 소장
"디지털 헬스케어, 신약개발 과정에 많은 도움될 것"
"제약사, 디지털 치료제에 관심 가져야할 때"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발전을 위해 이 사람처럼 열정을 보이는 사람이 또 있을까! 

많은 사람이 개인의 발전이나 이득을 위해 움직일 때 오로지 디지털 헬스케어가 국내에 자리잡았으면 하는 순수한 바람으로 여기저기 뛰어다니는 사람이 있다. 최윤섭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소 소장이 그 주인공이다. 

최윤섭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최윤섭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소 소장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최 소장은 국내에 디지털 헬스케어라는 단어가 생소했을 때부터 연구소를 만들고, 국내 처음으로 헬스케어 스타트업 회사들에게 컨설팅을 해주는 '디지털헬스케어 파트너스(DHP)' 등을 만들며 이 분야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있다. 

그는 또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정부를 대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의 중요성,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리기 위해 종횡무진이다.또  디지털 헬스케어와 관련된 강의라면 어디라도 달려가고 있다. 

누군가 알아주지도, 엄청난 수익이 생기는 일도 아닌 이 일에 그가 왜 이토록 애정을 보이는 걸까?

우문에 그는 "재밌잖아요"라는 현답을 내놓았다. 그는 "이 일이 재미있고, 자부심을 갖고 있다"며 "이 분야에 순수한 사람이 많다. 사명감을 갖고, 디지털 헬스케어의 사회적 가치와 의학적 가치를 믿고 있는 사람이 꽤 있다"고 말한다. 
 
최근 그는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의 미래'라는 신간을 발간했다. 그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수혜를 가장 많이 받을 분야가 제약들이 될 것이란 주장을 펴고 있다. 그 이유를 들어봤다.  

-책 내용 중 '제약사, 디지털이 날개를 달아줘요'라는 부분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스마트폰, 웨어러블, 유전정보분석, 인공지능 등 디지털 헬스케어 모든 것이 신약개발 프로세스 모든 단계에 적용할 수 있어서다. 제약사가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하면 표적발굴, 선도 물질 발굴, 임상시험, 출시 후 모니터링 등 신약개발 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야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물론 성공 확률도 높일 수 있다.

GSK, 머크,, 존슨앤존스 등 다국적 제약사의 움직임을 봐도 알 수 있다. 이들 제약사들이 최근 몇 년 동안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투자를 크게 늘리고 있다.

-제약사들이 신약개발 과정에서 어떻게 디지털 헬스케어의 도움을 받는다는 것이지?

개인 유전자 정보 분석 회사인 23andMe는 신약개발과 임상시험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2018년 GSK는 23andMe 유전정보 DB를 독점적으로 접근하는 조건으로 3억 달러를 투자했다. 이후 GSK는 파킨슨병 개발에 이 회사의 데이터를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약개발에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제약사도 증가하고 있다. 머크, 존슨앤존슨, 사노피, 제넨텍 등이 아톰와이즈, 투자아, 베네볼란트 등이 인공지능 스타트업과 계약을 맺고 있다. IBM 왓슨은 인공지능을 활용해 임상시험을 하고 있고, SNS를 통한 신약 부작용을 발견하기도 한다.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 국내 제약사들은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 보이지 않는다. 

국내 제약사들이 중요성을 몰라서 하지 않는 건 아닌 것 같다. 국내 제약사들은 오너가  있는 회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오너가 이해(insight)를 하고 있느냐, 아니냐가 중요한 것 같다. 알아야 변화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 국내 제약사들도 변화를 파악하고, 신약개발의 여러 단계 중 어떤 부분에서 디지털 헬스케어를 받아들일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디지털 치료제를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디지털 치료제란 애플리케이션이나 게임 VR 등을 이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이 개념이 낯설지만 머지 않아 의사가 애플리케이션이나 VR 게임을 처방하고, 보험적용을 받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다. 약의 개념이 확장된다고 보면 된다. 

신약개발은 우리나라가 다국적 제약사와 경쟁하기 어렵다. 하지만 디지털 치료제 시장은 다르다. 다국적 제약사도 출발선에서 떠난지 얼마되지 않았다. 이는 국내 제악사도 주도권을 쥘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뜻이다. 문제는 국내 제약사들이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관심도 적고, 개념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가 발전하기 위해 시급해 풀어야 할 문제가 있다면? 

정부가 4차산업혁명을 외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당장 식약처 담당 직원만 봐도 그렇다. 인력이 고작 2명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공개적으로 "우리가 혁신의 걸림돌이 되지 않겠다"라고 천명한 바 있다. 이후 디지털 헬스 유닛이라는 부서를 만들고 전문인력과 예산을 확충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디지털 헬스기기과 등 전담부서를 만들고, 인력, 예산, 시스템을 뒷받침해줘야 한다.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기기는 사용하기 전에는 가치를 알 수 없다. 그런데 정부는 반드시 써본 후 효과를 평가하려고 한다. 안전성과 유효성 등에 대한 검증이 된 것이라면 사용한 후 평가할 수 있도록 프레임을 바꿔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