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일 교수, 의사과학자 양성에 도움된다고 주장
토론 패널들, 졸업 후의 정착 지원 필요성도 밝혀

지난달 3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6회 헬스케어 미래포럼 토론 장면

[메디칼업저버 전규식 기자] 의사과학자 양성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를 연구하는 의대생들의 병역 문제를 해결해줘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종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생화학교실)는 지난달 31일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실시된 '제6회 헬스케어 미래포럼'에서 '국내외 의사과학자 양성 체계'에 대한 주제 발표를 통해 이 같이 주장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당시 우수한 의대생들에게 군 면제 프로그램으로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 근무하도록 지원해 의과학자 연구 활성화를 꾀했다.

미국은 이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매년 전체 의대생 4% 수준의 학생들에게 의과학자 연구 지원을 하고 있다.

그는 최근 카이스트(KAIST)에서 운영하는 의과학대학원의 군 면제 혜택이 의과학자 양성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성공 사례라고 밝혔다.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은 박사 학위와 전문 연구 요원 과정을 총 4년 간 마치고 졸업한 대학원생에게 군 면제 혜택을 주고 있다.

이를 통해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은 매년 20명을 2:1의 입학 경쟁률로 선발하는데, 군 입대를 하지 않는 여성 지원자의 경우 지원률이 저조해 현재까지 3명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김 교수는 의과학자 교육 과정을 마친 의대생이 전임의 등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의과학자 양성을 활성화시킬 방안으로 꼽았다.

실제 미국 의대생들이 의과학자를 지망하는 이유가 원하는 과에서 레지던트를 하거나 교수가 되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라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아울러 하버드대학교 의대생들이 의사과학자로서의 연구(MD-PhD)에 관심을 밝히면 R01 펀드 등을 통해 금전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도 특징이라고 강조한 김 교수다.

그는 "군 복무 문제 해결이 의과학자 양성 활성화에 단기적으로는 큰 효과를 줄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의대생들이 의과학자로서 연구를 했을 때 졸업 후 안정적인 정착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선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에 참석한 패널들도 김 교수의 의견에 동의했다.

최형진 서울의대 교수(해부학교실)는 "환자를 진료하다 보면 관련 분야의 기초 의학을 더 연구해서 치료를 돕기를 희망하는 의사가 주변에 많다"며 "하지만 지금은 의과학자를 지망했을 때 연구에 대한 지원을 받거나 일자리를 갖기가 쉽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주영석 카이스트 교수(의과학대학원)는 "최근 제기되는 의과학자에 대한 필요성은 시대와 사회의 요구로부터 비롯된 것"이라며 "지망생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전향적으로 제도 개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김법민 고려대학교 교수(의공학과)는 원천 기술을 재해석해 의료기기를 개발할 수 있는 의과학자 양성 교육 커리큘럼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의대생이 의학을 공학, 기초 과학 등 타분야와 접목해서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커리큘럼이 현재로서는 대학에 마련돼 있지 않다"며 "미국의 사례들을 본받아서 의료기기는 물론 원천 기술까지 개발할 수 있는 의과학자를 양성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