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우한 폐렴 발생에 신종 감염병 유행 가능성 높아져 
WHO·美·유럽, 정부주도 백신개발 박차...제약업계 "政, 개발 지원 나서야"

이미지 출처 : 포토파크닷컴
이미지 출처 : 포토파크닷컴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2009년 신종플루를 시작으로 2013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올해 중국에서 발생한 이른바 '우한 폐렴'으로 감염병 판데믹을 대비한 백신 개발과 공급의 필요성이 재차 부각되고 있다. 

특히 제약업계는 판데믹 대비 백신 생산·공급을 위해서는 정부 주도로 정책 방향성을 설정해야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한다. 

中 우한 폐렴, 백신 확보 필요성 재인식 계기

살인 진드기로 불리는 작은소참진드기로부터 감염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신형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에볼라 등 신종 감염병은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 넣었다. 

올해는 중국 우한시에서 원인불명 폐렴이 발생, 국내에서도 비슷한 증상을 보인 환자가 발생하면서 판데믹을 대비해야 한다는 인식이 다시금 제기된다. 

2009년 우리나라는 신종플루 판데믹을 겪으면서 신종 감염병 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 확보가 국민의 건강과 국가 안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했다. 

당시 우리나라는 백신을 확보하지 못해 당시 질병관리본부장이 벨기에까지 찾아가 GSK를 방문했던 일화도 있다. 

특히 메르스가 우리나라를 덮쳤던 2015년에는 경험 부족 탓에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발생하면서 수많은 피해를 안겼다. 

이 같은 사태를 계기로 우리나라 역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안 마련에 나서기 시작했다. 

정부는 지난해 제5기 감염병관리위원회 1차 회의를 열고 범부처 대응 강화에 나섰다. 

이날 회의에서는 제2차(2018~2020) 감염병 예방관리 기본계획에 대한 이행실적과 시행계획이 보고됐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메르스 등 신종감염병 발생 시 부처·지자체의 역할과 대응 절차를 명확하게 하고, 발생감시-검역-지역사회관리로 이어지는 통합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체계를 고도화하는 방안이 담겼다. 

이와 함께 감염병 관리 일선 현장의 기술지원 수요를 반영, 범부처 감염병 R&D 사업을 추진하고, 감염병 진단검사체계 선진화를 위한 국가표준실험실 운영, 신종감염병 실험실 검사법 확립 등도 추진키로 했다. 

질병관리본부는 "감염병 대응에 있어 각종 예방관리 대책이 실행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매년 관리위원회를 통해 이행현황과 시행계획을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또다시 커지는 '판데믹' 우려...제약업계 "정부가 적극 주도해야"

상황이 이렇자 제약업계에서는 정부 주도의 정책이 자리를 잡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그동안 여러 차례 신종감염병의 습격을 받았던 만큼 향후를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약 10년 전 정부는 신종플루 판데믹에 대비해 GC녹십자 화순공장의 설립과 백신 개발·상업화를 지원했고, 정부 지원을 받은 GC녹십자는 신종플루 백신 개발에 성공하기도 했다. 

또 화순군은 탄광촌이었던 지역을 아시아 백신산업 메카로 만들고자 네트워크 구축을 직접 진두지휘하기도 했다. 

하지만 제약업계는 정부 주도로 백신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말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판데믹을 대비하기 위한 백신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려면 정부가 주도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며 "제약사를 비롯해 민간에 이 같은 역할을 맡겨두면 꾸준하게 진행할 수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2009년 신종플루 발생 이후 백신에 대한 관심은 많아졌지만 실제를 들여다보면 비효율적인 게 사실"이라며 "사망자가 발생해야 그제서야 준비하고 사태가 지나가면 그 중요성을 잊고 말게 아니라 판데믹에 대비한 준비를 미리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약업계가 백신 사업을 낮은 시장성 때문에 포기할 게 아니라 기술력을 갖출 수 있도록 꾸준히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우리나라가 판데믹 대응 백신 개발이 지지부진한 데는 백신이 다른 의약품에 비해 경제성이 낮아 국내 제약사들이 적극적인 투자와 개발을 꺼리기 때문이다. 

백신을 개발하려면 면역학에 대한 노하우도 있어야 하지만 내수시장만 바라보기에는 경제적 리스크도 크다. 한 사람이 여러 개를 구입하는 일반적인 의약품과 달리 백신은 한 사람당 한 대만 맞기 때문에 제약업계 입장에서는 내수만 보고 개발하기에는 리스크가 큰 게 사실이다.

정부 차원에서 국내 제약사들이 백신 개발을 위한 기술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또 다른 제약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재정적 지원을 한다해도 기술력이 갖춰져야 백신을 개발할 수 있다"며 "정부 주도의 지속적인 정책사업이 이뤄지거나, 컨소시엄을 꾸려 운영하게 된다면 제약업계가 백신 개발에 대한 부담이 줄어 정책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판데믹 대응하는 글로벌...백신 개발에 신종바이러스 해독까지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를 비롯해 각국 정부와 민간단체들은 백신 개발에 막대한 돈을 쏟아붓고 있다. 

실제 WHO는 에볼라 백신을 개발해 임상에 성공했다. 이 백신은 2017년 에볼라가 발병한 콩고민주공화국에 긴급 투입됐다.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 재단은 신종 전염병에 대항할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TI)를 출범시켰다. 해당 연합은 오는 2022년까지 10억달러(한화 약 1조 1180억원)를 백신을 개발하는 기업과 과학자들에게 지원할 계획이다. 

이처럼 단체들이 판데믹 대응 백신 개발에 나선 데는 시장 장벽을 없애기 위해서다. 

신종감염병의 경우 대부분 저개발 국가에서 유행하는데, 이 국가들은 백신이나 치료제를 구매할 능력이 없다보니 제약사들은 시장성이 떨어진다고 보고 개발에 소극적인 현 상황을 바꾸자는 취지다.

최근에는 감염병 DB 구축도 주목받고 있다.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 DNA를 분석해 신종감염병을 근절할 근본적인 방법을 찾겠다는 것이다. 

UC샌프란시스코 애보트 진단센터는 바이러스와 세균 800만종에 대한 DNA 분석 DB를 구축하고 있다. 

또 미국 국제개발처 등은 오는 2026년까지 34억달러(한화 약 3조 8000억원)를 투자하는 글로벌 바이러스 유전체 프로젝트도 운영 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