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 교수, 의료기기협회 초청 토론회서 강조 
'근사한' 기술 아닌 '최종 성과'에 방점...정책적 지원 위한 설득력 주장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는 최근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를 초빙,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김 교수는 혁신의료기기는 환자 편의성에 초점을 맞추는 게 시장진입에 용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제공 :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는 최근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를 초빙,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김 교수는 혁신의료기기는 환자 편의성에 초점을 맞추는 게 시장진입에 용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제공 :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혁신 기술을 접목한 의료기기 기업은 환자 편의성 등 다른 종류의 성과를 토대로 시장에 진입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는 최근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를 초빙해 '한국 의료정책의 미래와 보건의료산업의 과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혁신의료기기는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환자에 대한 최종성과를 결과물로 내놓아야 하는 조건이 있다. 의료기기 업계는 시장 진입 전에 최종 성과를 갖고 있는 게 어렵다고 토로하는 상황.

이날 김 교수는 "혁신 의료기기는 의약품과 달리 최종적으로 환자의 아웃컴이 좋아지는 것과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며 "환자의 아웃컴 결과가 아닌 편의성 등 다른 종류의 최종성과를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외에 제한적 의료기술이나 선별급여와 같은 정책을 통해 최종성과를 위한 근거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물론 미국, 유럽 등도 가치에 기반한 최종성과에 수가를 지불하고 있다. 

혁신기술을 접목한 의료기기가 환자의 최종성과를 좋게 하기 위한 수단인지, 아니면 의료기관의 편의에 좋은건지 등 근거가 빈약한 상태라면 정부가 수가 요구에 대한 수용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김 교수는 "정부는 개별 기술이나 재료, 장비에 수가를 주지 않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계할 것이로 예상하고 있다"며 "근거가 미약한 근사한 기술로 수가를 받으려는 건 성공 가능성이 낮다"고 일축했다. 

정부가 혁신기술에 대한 가치를 인정해 정책적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충분한 '설득력'을 갖춰야 한다고도 했다. 

기술의 발달로 인한 보건의료환경 변화는 당연하지만, 정책 당국을 설득할 수 있어야 정책 반영에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혁신 기술에 대해 진료가 용이해진 것인지, 환자가 편리해졌는지, 치료 성과를 얼마나 높였는지에 대한 질문은 당연히 붙게 된다"며 "혁신기술의 정책적 지원을 위한 사회적 합의 조건은 환자 치료 효과에 있어야 한다면 누구나 가치를 인정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의료기기업계도 고려한다면 각 분야의 이해당사자들이 필요성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컨텐츠를 갖고 정부와 소통한다면 구체성과 논리성에 따라 정책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정부가 신기술 의료기기의 시장진입을 억제하는 게 아니다. 업계가 정부의 관성을 바꿀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