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옥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국장
올해 AI·빅데이터 활용 정책 및 대국민·대산업 소통과 국제협력 강화

식품의약품안전처 김영옥 의약품안전국장.
식품의약품안전처 김영옥 의약품안전국장.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국은 올해 AI·빅데이터를 활용한 의약품 공급중단 예측시스템을 구축해 의약품 공급중단 사태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식약처 김영옥 의약품안전국장은 7일 식약처 출입기자단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김영옥 국장은 의약품안전국이 올해 추진할 정책 방향에 대해 AI·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정책과 대국민 및 대산업 소통 강화, 국제협력 및 통상업무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김 국장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는 AI 및 빅데이터 활용에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식약처에 누적돼 있는 의약품 관련 데이터가 많아 그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식약처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외부 기업이나 국민들이 어떻게 제공받을 수 있고,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다"며 "현재도 의약품안전나라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의약품 공급 중단 사태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강조했다.

그는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의약품 공급중단 예측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며 "우리 식약처가 가지고 있는 여러 자료를 종합해 알고리듬을 만들면 공급중단이 언제, 어느정도 상태로 발생할지 예측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실제 시스템을 운영해 봐야 알겠지만, 알고리듬을 만들 계획은 있으나,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시행해 봐야 안다"며 "지금은 외부 기관의 정보를 수집해 단발적 예측에 그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알고리듬이 만들어져 예측이 가능해지면 빠른 경고조치 및 대처 방안도 빠르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의약품 허가 및 심사, 사후관리에 대한 공식적인 소통 채널 구축도 피력했다.

그동안 식약처는 허가 및 심사, 사후관리까지 관련 업무를 진행하고 있지만 여려 측면에서 소통이 원만하게 이뤄지지 못했다는 것이 김 국장의 평가다.

이에, 그는 "공식적인 소통 채널을 만들고 싶다"며 "민원인들이 공식적으로 하고 싶은 말을 하고, 식약처 직원들도 공식채널을 통해 답변하는 소통형태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소통 채널은 식약처 전반을 아우르는 큰 소통채널을 비롯한 실무자, 중견 관리자 및 분야별 채널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특히, 분야별로는 임상과 사후관리, 허가 및 심사 등으로 나눠 세부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것.

국제협력과 통상업무가 강화되고 있다며, 지난해부터 의약품 분야에서 그런 국제협력에 대한 성과가 나오고 있다고 했다.

지난해 EU는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 등재했다.

의약품은 모든 나라가 허가 시스템 및 사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다른 상품에 비해 엄격하다.

국제협력을 통해 우리의 허가 시스템과 관리 수준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는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고, 안전관리하는 수준 역시 국제적으로 인정 받고 있다"며 "이런 것이 바탕이 되어야 우리 의약품 시장이 세계에 진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통상과 국제협력을 해보면 다른 국가의 벽은 결국 규제기관"이라며 "각 국 규제기관과의 협력이 중요하다. 규제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기업들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을 찾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그는 지난해 제네릭 의약품 난립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제시된 공동생동 단계적 폐지안이 규제개혁위원회에서 규제 심의를 위한 대기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현재 규제위에서 심의가 늦어져 과도한 규제라는 말이 나오는 것 같다"며 "복지부의 약가 같은 경우는 규제 심의 대상이 아니다. 우리가 규제 심의 받는 내용은 절차상으로 보면 일상적인 내용들"이라고 말했다.

이어, "규제 심의의 상세한 내용을 알 수 없지만 위원회 개최 주기는 월 1회 정도 하는 것으로 안다"며 "심의 위원들은 전부 외부인원이다. 논의해야 할 사항들도 많다. 그렇다 보니 시일이 걸리는 것 같다"고 예상했다.

그는 식약처 입장에서도 공동생동에 대한 규제 심의가 빨리 진행되길 바란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