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적 평가로 맞춤형 관리…활동량 등 객관적 지표 통한 노인 우울증 90% 이상 선별 가능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희정 교수

[메디칼업저버 정윤식 기자] 노인 우울증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알고리듬이 개발돼 화제다.

이번 평가도구 개발에 따라 노인 우울증을 사전에 예측해 효과적인 관리를 꾀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연세대 간호대학 김희정 교수팀은 세브란스 헬스IT산업화지원센터의 지원 아래 지역사회 내 거주 중인 독거노인 우울군을 정확히 선별 가능한 알고리듬을 구축했다고 최근 밝혔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만 73명 중 21.1%가 우울 증상을 겪고 있다. 

연령별로 65~69세가 15.1%, 70~74세는 18.2%, 75~79세 23.6%, 80~84세 30.7%, 85세 이상은 33.1%로 조사됐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우울 증상을 겪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인데, 특히 독거노인의 경우 2416명 중 730명(30.2%)이 우울하다고 답했다. 

이는 노인부부 4908명 중 804명(16.4%)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치로, 독거노인의 경우 부부노인에 비해 정신건강적 측면이 취약해 우울증 유병률이 더 높음을 보여준다.

또한 노인들은 직장에서의 은퇴, 그로 인한 경제적 능력 상실, 사회적 고립, 배우자 사망 등을 원인으로 우울 현상을 겪게 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러한 노인 우울증은 고혈압, 심장병 등 순환기 질환이나 치매와 같은 정신질환 등의 합병증 발병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우울증을 제때 관리하지 못하면 질병 치료를 위한 사회적 비용의 증가는 물론 자살과 같은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

하지만 노인 우울증은 노인이 호소하는 주관적인 우울감만으로 우울증을 진단하기에는 증상의 비정형적 특성이 있어 예측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우리나라 노인들의 경우 본인이 지각하지 못하거나 우울 증상을 정확히 보고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대상자를 객관적으로 선별하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17년까지 65세 이상의 재가 독거노인 47명을 대상으로 주간 활동량, 환경적 빛 노출, 수면 패턴 등의 평가요소를 적용해 우울증 정도를 평가했다. 

2주간 활동기록기(Philips Actiwatch Spectrum PRO)를 통해 생체측정 지표를 수집하고, 하루 4번씩 대상자들의 주관적 우울감을 1~10점을 기준으로 측정했다.

조사결과, 우울감을 호소한다고 했던 47명의 대상자 중 실제 우울증이 있는 대상자는 18명으로 파악됐고 우울감을 호소했으나 우울증이 아닌 대상자는 29명으로 나타났다. 

즉, 주관적인 우울감만을 기준으로 판단했을 때 47명 독거노인 모두 우울감을 호소하고 있다고 했지만 객관적인 분석 결과에서는 18명만이 우울군으로 식별된 것이다. 

우울군에 속한 대상자들의 경우, 우울군에 속하지 않은 대상자들에 비해 활동기록기를 통해 측정된 활동 수치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우울군에 속한 대상자들의 경우, 우울군에 속하지 않은 대상자들에 비해 활동기록기를 통해 측정된 활동 수치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우울군으로 식별된 집단의 경우 활동량이 67.4를 기록한 반면 비우울군은 90.5로 25.6% 가량 낮게 나타났다. 

우울감이 없이 좋은 기분을 평가한 생태순간평가에서도 우울군의 경우 5.1점, 비우울군은 6.6점으로 우울군에서 심리적 우울감이 심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하루 1회·1주일 이상의 주관적인 우울점수인 생태순간평가와 함께 생체측정 지표인 주간 평균 활동량, 환경적 빛 노출의 차이, 일별 수면의 질 만으로 90% 이상 우울군 선별이 가능했다는 게 연구팀의 강조사항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활동량과 주간 빛 노출, 수면 패턴 등 활동지표로 우울증 정도를 측정하는 알고리듬을 구축했다.

그동안 우울 선별을 위한 노인 우울 척도(GDS)나 해밀턴 우울척도 등 임상도구를 사용하지 않은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알고리듬 구축이 그동안 파악되지 않은 노인 우울증을 측정할 객관적 지표를 마련해 노인 맞춤형 관리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김희정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대상자를 객관적으로 선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노인, 그 중 독거노인의 정신건강을 지속적으로 평가해 증상 중심의 개인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과 지역사회 서비스의 실무 확산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해외학술지 '의학인터넷연구저널 자매지 모바일헬스 및 유헬스(Journal of Mediacl Internet Research mHealth and uHealth)'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