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의대 연구팀과 공동연구..."부인암 극복에 새로운 전기 마련돼야"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이정원 교수. (사진제공 : 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이정원 교수. (사진제공 : 삼성서울병원)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부인암 표적치료제가 어떤 환자에게 효과가 있을지 미리 가려낼 수단이 마땅찮은 상황에서 개인맞춤 치료가 현실로 다가올 전망이다. 

삼성서울병원 이정원 교수(산부인과), 남도현 교수(신경외과)와 아주대의대 이진구 교수 공동연구팀은 부인암 환자 유래세포를 이용한 약물-유전체 분석을 통해 개인맞춤 치료 예측인자를 규명했다고 24일 밝혔다. 

부인암은 수술과 항암을 병행하더라도 환자 4명 중 1명꼴로 치료 6개월 만에 재발이 발생, 치료가 쉽지 않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부인암 치료에 새로운 진전을 이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에서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등 부인암 환자에게서 떼어낸 암 조직 139개를 토대로 환자유래세포 라이브러리를 구축, 유전체 분석과 동시에 약물반응성을 조사했다. 

연구에는 삼성서울병원이 개발한 차세대 유전체 분석 시스템 캔서스캔(CancerSCAN)이 활용됐다. 

또 연구팀은 환자유래세포를 37개 분자표적 약물을 이용해 효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종양억제유전자로 알려진 P53 유전자의 변이 여부가 최근 나온 표적 항암제인 PARP 억제제의 치료 반응에 가장 중요한 인자로 밝혀졌다. 

PARP 억제제는 최근 여러 연구를 통해 난소암 환자의 생존율 개선에 효과를 입증하며 신약 가운데 주목받고 있다. 

P53 변이가 있는 경우 현재 연구 중인 후보 약물 대부분에 높은 저항성을 보인 반면, PARP 억제제에서만 높은 민감도를 보였다. 

아울러 PARP 억제제를 사용하는 난소암 환자에서 모두 다 효과적이지 않다는 점을 추가로 연구, ID2 단백질이 약제 내성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라는 것을 규명했다. 

난소암으로 PARP 억제제를 사용한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ID2 단백질 발현 여부에 따라 치료효과를 비교한 결과, 음성인 경우 8.37개월로, 양성인 경우 4.03개월보다 두 배 길었다. 

삼성서울병원 이정원 부인암센터장은 "부인암에서 정밀의학 및 맞춤의료를 구현하기 위해 유전체 분석과 약물 스크리닝을 동시에 시행하는 게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번 연구로 앞으로 부인암 극복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유전체 생물학(Genome Bi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