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종호 교수팀, 폐암 림프절전이 세분화 분류법 검증결과 발표 

왼쪽부터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조종호 교수, 박병조·김태호 임상강사.
왼쪽부터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조종호 교수, 박병조·김태호 임상강사.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폐암 림프절 병기를 장기 전이 여부에 따라 병기를 걸정하는 건 무리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때문에 현재 폐암의 병기를 결정하는 TNM(Tumor, node, and metastasis) 분류법의 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질 전망이다.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조종호 교수, 박병조·김태호 임상강사 연구팀은 최근 폐암 병기 진단기준 8차 개정에서 제시된 폐암 림프절 전이 세분화 분류법에 대한 검증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세계폐암학회 학술대회에서 소개된 데 이어 흉부종학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폐암은 TNM 분류법에 따라 암의 크기와 림프절 또는 다른 장기 전이 여부에 따라 병기가 결정된다. 

TNM 분류법은 1960년대 중반 미국에서 처음 소개된 후 2017년 8차 개정에 이르기까지 폐암 병기를 세분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하지만 림프절 병기의 경우 1980년대 후번 이후 지금까지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실제 TNM 분류법에 따르면 전이가 없는 경우는 N0, 폐암 발생 부위와 같은 쪽 기관지 위주 림프절 또는 폐문부림프절 전이가 있으면 N1, 종격동이나 기관분기부하 림프절로 전이되면 N2, 폐암 발생부위 반대쪽으로 전이가 발생하면 N3로 분류한다. 

숫자가 커질수록 폐암 병기가 깊어지고 예후도 나빠진다.

이 같은 분류 기준은 림프절 전이 위치만 따질 뿐 전이 개수 등 다른 요소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이를 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그러나 기존 기준을 변경하기에는 다른 분류법이 의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현재도 같은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조 교수팀은 8차 개정에서 제안한 분류법이 임상 현장에서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2004년부터 2014년 사이 삼성서울병원에서 림프절 전이가 있는 비소세포폐암 수술 환자 1228명에게 이 기준을 적용해봤따. 

N1에 해당하는 환자는 전이가 1곳에 국한된 경우(N1a)와 2곳 이상인 경우(N1b)로 나눴다. 

또 N2에 해당하는 환자는 폐암 발생 부위 주변부 림프절 전이 없이 종격동림프절 등 N2 해당 부위로 도약 전이한 경우(N2a1)와 주변부를 거쳐 N2 해당 부위 1곳에 전이한 경우(N2a2)로 구분했다. N2 해당부위에 림프절 전이가 2곳 이상인 경우(N2b)도 따로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생존율에서 N2a1 환자가 64.7%로 가장 높았고, N1a 62.6%, N1b 57.0%, N2a2 48.4%, N2b 42.8%로 나타났다. 

같은 N1, N2 그룹 안에서는 예후가 갈렸지만, 병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N1 군에 비해 N2 군에 해당했던 N2a1 환자의 예후가 역전한 것이다. 

연구팀은 "해당 분류를 그대로 사용하긴 어렵지만, 단순히 전이 위치 만으로 병기를 결정짓는 것 또한 무리가 따른다는 걸 확인했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환자 예후에 따라 병기를 새로 정하는 등 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