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협, ‘내과 3년제 전환 후 인력 공백에 따른 병원별 실태조사’ 공개
설문 결과, 업무 분배 수련병원 3분의 1 불과
박지현 회장, "정부·병원, 다각적이고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 필요"

내년부터 외과전공의 수련기간이 4년에서 3년으로 단축된다.
<이미지 출처 : 포토파크 닷컴>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내과 전공의 수련기간이 3년으로 전환되면서 인력 공백 우려가 있는 가운데 이에 따른 환자안전 등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미온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4일 최근 수련병원 내과 수석 레지던트를 대상으로 '내과 3년제 전환 후 인력 공백에 따른 병원별 실태조사'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전국 37곳의 수련병원 내과 수석 레지던트가 참여했다.

빠르면 오는 12월부터 내과 3,4년차 레지던트가 전문의 자격시험 준비에 돌입한다. 그러나 이로 인한 인력 공백을 앞둔 상황에서 이들이 맡고 있는 주요 업무가 병원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대전협은 "전국 수련병원 내과의 인력 공백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는데도, 3, 4년차 레지던트들의 주요 업무는 아직도 병동 주치의, 협진, 응급실, 중환자실, 주치의 순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들의 일주일 평균 평일/당직 횟수는 각각 1.16일, 0.76일로 인력 공백을 대비한 업무 분배는 커녕, 아직도 주요 업무의 상당 부분을 3,4년차 레지던트가 수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수련병원 내과 수석 레지던트들은 이런 상황에서 내과의 업무가 1,2년차의 인력만으로 감당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절반 이상인 65.79%가 1, 2년차 인력으로 불가능하다고 답했으며, 특히 71.05%가 1, 2년차 인력만으로는 병원에 문제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A 병원 내과 수석 레지던트는 "전공의 한 명 당 3~40명에 육박하는 환자를 담당하게 된다. 업무시간 내에 해당 업무를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의료사고 발생 가능성도 증가하게 된다"고 답했다.
 
B 병원 내과 수석 레지던트도 "1, 2년차 레지던트가 3, 4년차의 업무를 대신할 수 없다"며 "중환자/협진 진료의 질도 당연히 저하되며, 입원환자도 충당할 수 없고 따라서 이전보다 환자 케어에 집중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런 가운데 수련병원은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내과 인력 공백이 논의돼 인력 및 업무 분배가 진행되고 있는 곳은 28.95%에 불과하며, 논의는 되고 있으나 뚜렷한 계획이 없는 곳은 60.53%, 전혀 진행된 바 없는 곳이 7.89%로 집계됐다.

특히 인력 공백 기간을 기존의 전공의 인력으로 운영한다는 곳이 절반(50%)에 달했다. 기존 전문의 인력이 업무 일부를 대체할 예정인 곳은 36.84%, 정해진 계획이 없는 곳은 21.05%, 업무 자체를 줄이기로 하거나 추가 전문의 인력을 고용한 병원은 15.79%에 불과했다.

대전협은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입원전담전문의 제도 활성화를 강조했다.

그러나 많은 수련병원이 입원전담전문의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대전협 설문 결과, 채용 공고를 냈으나 한 명도 충원되지 못한 곳이 36.84%, 일부만 충원된 곳이 28.95%로 나타났다.

C 병원 내과 수석 레지던트는 "입원전담전문의의 처우가 더 좋아져야 한다. 특히 정규직으로의 전환이 가능해야 이 제도가 지속 가능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대전협은 내과의 인력 공백이 입원환자의 진료와 안전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정부와 수련병원, 학회에 근복적인 해결책 마련을 촉구했다.

박지현 회장은 "일선에서는 올해 2달만 버티면 되는 일시적인 문제라 하지만, 기존 4년제로 운영되다 3년제로 단축된 상황이기에 매년 비슷한 시기가 반복될 수밖에 없다"면서 "파트를 묶어 로딩을 늘리는 병동 당직제, 또 다른 희생양을 양산하는 교수/펠로우 당직제, 응급실 내과 철수 등 의국 차원의 근시안적인 임시방편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정부, 병원, 학회 차원의 다각적이고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회장은 "정부에서는 입원전담전문의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을 고민해야 하고, 병원 차원에서는 환자안전 사고에 대한 대비책과 보완 시스템 마련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또 학회는 내과 3년제 단축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역량을 갖춘 전문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수련프로그램 및 평가 기준 개발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