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심뇌혈관질환 중앙센터 없어
강동성심병원 오동진 교수 "중앙심뇌혈관센터 설립 및 권역-지역 센터의 조직화 필요"

[메디칼업저버 주윤지 기자] 우리나라가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심뇌혈관질환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지만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중앙센터가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강동성심병원 오동진 교수(심장내과)는 19일 대한심장학회 제63차 추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심뇌혈관질환 관리에도 중앙센터가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강동성심병원 오동진 교수(심장내과)는 19일 대한심장학회 제63차 추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심뇌혈관질환 관리에도 중앙센터가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강동성심병원 오동진 교수(심장내과)는 19일 대한심장학회 제63차 추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심뇌혈관질환 관리에도 중앙센터가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한국은 OECD 국가 중 최근 40년간 가장 빠른 고령화를 보이는 국가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국가적인 질병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고령 질환 증가에 대한 국가적인 대비가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오 교수에 따르면 다른 나라는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률이 감소하는 추세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심부전 환자가 특히 많아졌다.

오 교수는 "질병이 있더라도 위험요소를 조정하는 게 중요한데, 암보다 심뇌혈관질환은 위험요소를 조정하면 발생률 및 사망률을 2배 이상 감소할 수 있다"면서 "암 관련 사망률은 전 세계적으로 비슷하지만,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은 나라 간 5.7배까지 차이가 나는데, 이는 그 나라가 질병 예방 시스템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심뇌혈관질환 관련 정책들은 있지만, 이들은 실천계획(action plan) 및 인프라가 없어 축의 역할을 하는 중심 단체가 없다는 지적이다. 

오 교수는 "암센터, 중앙응급의료센터의 모델에 맞춰서 씽크탱크(think tank)로 심혈관질환 중앙센터를 설립해야 한다"면서 "또 지방에 있는 권역센터을 조직화하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지역 심뇌센터의 조직화를 통해 권역 내에서 심뇌혈관질환의 사전 예방, 24시간 상시 치료, 재발 방지, 환자 등록 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오 교수가 설명했다. 

오 교수는 "병원 단계에서 핵심 정책 추진체로서의 중앙의료센터가 필요하고 또 선발 역할을 하는 지역센터로 외상 의료, 응급의료, 혹은 암 의료와 같이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현재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법은 만들어졌지만 이를 행동으로 옮길만한 예산이 부족하다. 오 교수에 따르면 권역센터의 예산은 과거보다 삭감됐다.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또 우리나라는 지역 간 심뇌혈관질환 발생률의 편차가 있다. 특히 심근경색증의 조기인지도, 구급차 이용률, 전원율의 지방자치단체 간 차이가 크다. 경남 함안-하동, 전남북, 충남의 도서 지역민의 심근경색증 이송 체계가 허술해 사망률이 높다. 

따라서 노인들의 여러 질환을 관리하는 데 정보통신기술(ICT)도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오 교수는 "노인들은 여러 질환을 앓는 경우가 많고 거동이 불편해 의료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노인의 예방 관리하는 데는 결국 새로운 원격의료, 전기충격기(ICD), 심박동기, CRT 기기와 같은 ICT 기술을 활용할 수밖에 없다"고 피력했다.

이 기기들은 원격의료를 가능하게 만들어 생존율 향상, 의료진 효율성 증정시키고, 재원 기간 및 의료기관 방문 수를 감소시킨다. 미국에서는 이미 활성화됐지만 국내에서는 법적인 문제로 ICT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특히 애플워치는 심전도를 측정해 전송할 수 있지만 이런 기능도 국내에 수입되면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오 교수는 "외국에서 입증되고 노인층 질환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새로운 기술을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다 같이 힘을 모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