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장학회, 23일 만성콩팥병 환자의 교육 및 상담 수가 개선을 위함 토론회 개최
공유 의사 결정체 강조

[메디칼업저버 주윤지 기자] 만성콩팥병 환자의 교육 및 상당 수가를 개선해야 환자의 삶의 질 향상 뿐 만 아니라 건강보험 재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신장학회는 23일 국회에서 '만성콩팥병 환자의 교육 및 상담 수가 개선을 위함 토론회'를 개최해 환자에 적합한 투석 방법을 찾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난 '공유 의사 결정제'를 강조했다.

대한신장학회는 23일 국회에서 '만성콩팥병 환자의 교육 및 상담 수가 개선을 위함 토론회'를 개최해 환자에 적합한 투석 방법을 찾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난 '공유 의사 결정제'를 강조했다.
대한신장학회는 23일 국회에서 '만성콩팥병 환자의 교육 및 상담 수가 개선을 위함 토론회'를 개최해 환자에 적합한 투석 방법을 찾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난 '공유 의사 결정제'를 강조했다.

공유 의사 결정제는 의사와 환자가 같이 투석법을 선택하는 제도다.

이 제도가 투석환자 삶을 개선함에도 우리나라에서는 교육 수가 때문에 제대로 시행이 되지 않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윤일규 의원은 "만성콩팥병은 인구고령화, 당뇨병, 고혈압, 대사증후군 등 위험요인이 증가하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유병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며 "환자는 장기적인 투석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투석 방식에 대한 환자의 이해와 선택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해외는 환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 상담 환경을 조성해 환자가 투석 방식을 고민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추세"라며 "그러나 우리나라는 환자에 대한 교육 수가가 형식적이고 단발성에 그쳐 실질적인 교육 상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윤 의원에 따르면 실제로 약 50%의 환자가 적절한 투석 시작 시기를 놓쳐 응급실에서 투석을 시행했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응급 투석은 환자의 안전과 삶의 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신장학회 김연수 이사장은 투석의 종류와 방법 등 어떤 것이 환자의 현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예측하고, 환자를 둘러싼 환경, 라이프스타일, 가치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 제공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투석은 생명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한 치료이자, 본인에게 적합한 방식을 선택 하느냐에 따라 환자의 삶의 형태와 질이 달라지지만 현실은 투석 방석 선택 과정에서 만성콩팥병 환자가 중심에 놓이지 못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투석을 준비하기 전까지 환자가 받을 수 있는 교육은 단발적인 1회 교육만 인정되고 있고 그마저도 단시간에 병의 특징부터, 식이, 운동, 생활, 투석까지 모든 정보를 제공받게 되면서 대부분 교육 내용은 물론 교육을 받은 사실조차 기억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환자의 절반이 투석에 대한 오해로 투석 적기를 높쳐 위급한 상황에서 응급투석을 시작하고, 응급 투석은 환자의 예후에 좋지 않을뿐만 아니라 적절한 교육으로 예방 가능한 사회 경제적 손실이라는 것이다. 

일본 교수, '한국 복막투석 교육제 배울 점 많아'

일본 사이타마대병원 히데토모 나카모토 교수(신장내과)
일본 사이타마대병원 히데토모 나카모토 교수(신장내과)

이 문제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공유 의사 결정은 활성화가 잘 되고 있지 않지만 일본에서도 복막투석을 선택한 환자는 상당히 낮지만 개선된 교육과 수가제도로 향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회에서 발표한 일본 사이타마대병원 히데토모 나카모토 교수(신장내과)를 따르면 현재 일본에서는 33만 명이 혈액투석을 하고 9천 명이 복막투석을 하고 있다. 

나카모토 교수는 "9천명만 복막투석으로 치료받고 있어 상당히 적은 숫자를 나타내며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숫자를 보여주기도 한다"며 "현상을 검토한 결과, 일본 환자의 60%는 복막투석법에 대해 모르고 있었고 혈액투석 하는 분들 중에서도 40%는 복막투석이 있는지 몰랐다"고 밝혔다.

나카모토 교수를 따르면 의사들은 환자에게 복막투석에 대해 설명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워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어 나카모토 교수는 "환자들이 충분한 정보를 받지 못 하고 있어 복막투석법에 대한 납득이 되지 않는 상황"이었다며 "그 때 다른 나라에 눈을 돌려 봤는데 공유 의사 결정제를 알게 되고 도입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공유 의사 결정제는 '사전 동의(informed consent)'와 달리 쌍방향의 의사결정법을 지칭한다. 암 치료에서 수술, 방사선 혹은 화학요법을 선택하는 것 처럼 투석 법을 환자랑 공유하고 같이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환자가 자신의 라이프스타일 및 선호도에 따라 치료법을 선택하게 되어 의사가 환자의 목소리를 듣고 즐겁게 살 수 있도록 같이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환자가 중요해지는 치료법이다. 

나카모토 교수는 공유 의사 결정제의 활성화를 위해 의사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고 정부 정책이 따라줘야 한다고 말했다. 

나카모토 교수는 "처음에는 학회 측에서 수가를 바꾸자고 요청을 한 다음 최종적으로 국회의원을 포함해 국가에서 도입하기 위해 교육비를 지불하기로 결정하면서 수가가 정해졌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