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병원, 늦은 결혼, 저출산, 수유 감소, 빠른 초경 등 과배란 원인 지목
결혼·출산 예비여성 부분절제·이식복원 수술로 유방 보존할 수 있어

중앙대학교병원 유방외과 김민균 교수.
중앙대병원 유방외과 김민균 교수.

[메디칼업저버 정윤식 기자] 국내 의료진이 결혼을 하지 않는 독신 미혼여성과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가지지 않는 딩크족(DINK; Double Income, No Kids) 여성의 유방암 발병 위험이 높다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나섰다.

중앙대병원 김민균 교수(유방외과)는 "배란을 많이 할수록 유방암 발병 위험이 높다고 볼 수 있는데, 결혼하지 않는 여성과 출산하지 않는 여성의 증가로 배란 횟수가 줄어들지 않아 유방암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본다"며 11일 이 같이 조언했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39세 유방암 환자수는 2010년 대비 2018년 약 1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유방암학회도 이 추세라면 현재 20대인 여성 13명 중 1명은 살아가면서 유방암 환자가 될 수 있다고 예측한 바 있다.

국내 유방암 환자의 특징은 60~70대에 발병률이 증가하는 서양인과 달리 50대 이하 여성의 발병률이 높은 것인데, 특히 20~30대 발병률의 경우 서양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방암 발 생원인은 유전적 요인, 여성호르몬, 연령 및 출산·수유 경험, 방사선 노출, 음식물, 음주, 환경호르몬 등이 꼽힌다.

김 교수에 따르면 유방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1.8배, 초경이 빠르거나 폐경이 늦은 경우 1.5배, 출산 경험이 없는 여성이 1.4배, 모유수유를 하지 않은 여성이 1.8배 위험하다.

또한 폐경 후 체중이 10kg 중가했을 때 80%, 한 주에 3회 이상 술을 먹을 경우 50%, 동물성 지방을 과잉 섭취했을 때 2배까지 위험도가 증가하며 서구식 식생활 및 생활습관이 있거나 과거에 유방 수술을 받았던 경우 등에서 잘 발생한다.

즉, 서양에 비해 20~30대 여성에서 발병률이 높은 원인이 딩크족과 미혼여성이 늘고 있는 것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게 김민균 교수의 설명이다.

김민균 교수는 "최근 젊은 여성의 유방암 발병률이 높아지는 이유는 늦은 결혼과 저출산, 빠른 초경, 비만, 피임약 복용 등으로 보고 있다"며 "쉼 없는 배란으로 인한 세포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에서 유전자 돌연변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고 유전자 변이를 가진 세포가 암세포로 진행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모유 수유는 배란을 지연시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노출 기회를 줄여 유방암 발생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여성이 모유수유를 기피하거나 미혼여성에서 임신과 수유로 인한 유방세포의 완전한 분화가 이뤄지지 않아 젊은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김민균 교수는 젊은 여성의 유방암 조기진단을 위해서 20세 이상부터 매달 자가 진찰 및 2년에 한번 전문의에 의한 유방진찰을, 35세 이후부터 매년 전문의 진찰, 2년에 1회 유방 촬영이 권고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유방암은 림프절 전이가 빨리 되는 질환으로 암을 진단받고 수술받기까지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사망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신속한 검사와 수술이 필요하다는 것.

실제로 국내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방암 진단 후 한 달 이상 기다렸다가 수술 받은 환자는 한 달 안에 수술 받은 환자에 비해 사망률이 약 1.59~1.9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최근에 선별급여화된 표적치료제의 병합요법 등으로 특정 아형의 유방암은 50% 이상 선행화학요법으로 인한 완전관해를 이룰 수 있다"며 "보존 수술의 경우에도 유방 모양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종양성형술을 많이 시행하고 자신의 피부조직, 실리콘, 생리식염수 보형물 등으로 자연스럽게 복원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이어 "결혼이나 출산을 앞두고 있는 여성은 유방복원수술 선택 시 복벽을 이용한 재건일 경우 조산 위험과 복벽 약화 우려가 크므로 수술 방법 선택에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