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2013~2017년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료환자 분석 결과 공개
남녀 모두 꾸준히 증가…2017년 기준 총 진료환자 5만 1000여명
남성은 40대, 여성은 50~60대에서 진료인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메디칼업저버 정윤식 기자]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가 남녀 모두에서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적극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특히 남성은 40대에서, 여성은 50~60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성인병과 폐경이 중요 위험인자로 작용한다는 사실 또한 확인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13~2017년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왔다고 4일 밝혔다.
 

2017년 기준 환자 5만 1256명…5년간 연평균 21% 증가율

우선, 건강보험 가입자 중 최근 5년 사이에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환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2만 4379명에서 2017년 5만 1256명으로 연평균 증가율 21%를 기록한 것.

남성 환자 진료인원은 2013년 1만 4278명에서 2017년 3만 551명으로 1만 6273명 늘어나, 여성 환자가 1만 101명에서 2만 705명으로 1만 604명 늘어난 것에 비해 증가폭이 컸다.

연평균 증가율도 남성 21.6%, 여성이 20.2%로 남성이 다소 높다.

이를 2017년 기준 성별 인원으로 살펴보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료인원은 전체 5만 1256명 중 3만 551명이 남성(59.6%)이다.

즉, 여성 환자에 비해 남성 환자가 약 1.5배에 근접하는 수치로 집계된 것이다.

국민건강보험일산병원 최종원 교수(소화기내과)는 "서구화된 식습관, 운동부족, 생활양식의 변화, 비만인구의 증가 등이 상승추세의 원인"이라며 "고열량 식사를 많이 하는 반면에 몸을 움직일 기회가 적어 소비되지 못한 열량이 피하지방이나 간에 저장돼 비만과 지방간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요양기관 찾는 남성 환자는 40대, 여성은 50대가 가장 많아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전체 진료인원 중 50대가 1만 2333명(24.1%)으로 가장 많고, 40대가 1만 632명(20.7%)으로 뒤를 잇고 있다.

눈에 띄는 점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한다는 부분이다.

여성은 6391명(30.9%)으로 50대가 가장 많았고, 남성은 7235명(23.7%)으로 40대 진료인원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료비는 2013년 47억 2000만원에서 2017년 105억 3000만원으로 연평균 22.7%의 증가율을 보였고, 환자가 주로 방문하는 진료기관은 의원 48%, 종합병원 43.6%, 병원 8.2%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원 교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비만,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대사증후군 등과 같은 성인병이 위험인자"라며 "남성은 40대, 여성은 50~60대에 진료인원이 많은 것은 40대 이후의 성인병이 증가하는 것과 연관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여성은 폐경도 중요 위험인자로 작용한다"며 "40~50대 이후 지방간이 증가하는 현상은 당뇨병, 뇌혈관질환 및 심혈관질환의 발생과 관련이 있으니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