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CO서 AI 기반 폐암 면역관문억제제 반응 예측 연구 발표

루닛의 이번 연구에 활용된 조직 슬라이드 분석 AI 소프트웨어 ‘루닛 스코프(Lunit SCOPE)'.
루닛의 이번 연구에 활용된 조직 슬라이드 분석 AI 소프트웨어 ‘루닛 스코프(Lunit SCOPE)'.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폐암 면역관문억제제의 바이오마커인 PD-L1을 인공지능(AI)가 보완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루닛(대표이사 서범석)은 오는 31일부터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반응 예측 연구 초록을 발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루닛과 삼성서울병원이 공동 진행한 것으로, AI를 기반으로 한 H&E 슬라이드 분석을 토대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면역관문억제제 반응성을 예측하는 모델이다. 

연구는 AI와 PD-L1을 대조해 면역관문억제제 바이오마커로서 AI의 가치를 평가했다. 

루닛은 자체 개발한 AI 바이오마커 'AI 점수'와 PD-L1 발현을 비교, 둘 사이의 상호보완적 또는 AI 점수의 부가가치 발생 여부를 탐구했다. 

연구 내용에 따르면 PD-L1 양성 및 음성 환자군 내에서 각각 AI 점수에 따라 면역관문억제제에 대한 반응성 및 생존율(PFS)이 갈라졌다. 

PD-L1 음성으로 분류돼 반응이 없을 것으로 예측된 환자군에서 AI 점수로 재차 분류한 결과, AI 점수가 높은 환자 중 52%는 실제 면역관문억제제에 대한 반응이 있는 환자였다. 

이들은 AI 점수가 낮은 환자들에 비해 생존율이 3배 이상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PD-L1 양성으로 반응성이 기대된 환자군 내에서 AI 점수 재분류를 한 결과, AI 점수가 낮은 환자 중 63%는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성이 없는 환자였다. 

이들은 AI 점수가 높은 환자군에 비해 생존율이 6배가량 짧았다. 

특히 PD-L1으로만 분석할 경우 PD-L1 양성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반응을 보인 환자 비율은 49%였던 데 비해, AI 점수가 높은 환자군에서는 65%가 반응을 보였다. 

즉 AI를 활용할 경우 반응성이 있는 환자를 기존보다 약 1.3배 더 발견해낸 것이다. 

루닛 팽경현 이사는 "기존 PD-L1 마커로만 구분되던 환자군에서 AI 점수를 이용한 추가 분류를 통해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를 더 많이 발견했다"고 말했다.  

루닛 서범석 대표는 "루닛의 인공지능 기술력을 통해 정밀의료를 한 단계 더 끌어올려 현재 이뤄지고 있는 의료서비스의 차원을 높일 기회를 잡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연구 파트너십을 통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밀의료기반 암 치료 및 환자 예측 연구를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해당 초록은 내달 2일 ASCO 오전 포스터 세션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