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1차 알코올분해효소 많은 유전자형 많아
성가병원 김대진 교수 등 공동 규명


 성가병원 김대진 교수, 한림의대 최인근 교수, 한양의대 신형두 교수는 공동으로 알코올분해효소의 다형성과 알코올중독과의 위험성을 분석, 유전자형에 따라 알코올중독의 위험도에 큰 차이가 난다는 것을 밝혀냈다. 한국인 알코올환자 중 87%가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 결과는 3여년간 1000여명의 알코올중독환자 및 정상인의 임상자료와 알코올분해 효소의 유전적 다형성을 연구해 얻어낸 것이다.

 이들은 "체내에 흡수된 술은 ADH 효소에 의해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로 바뀌고 이 물질은 다시 ALDH 효소에 의해 무독성의 아세테이트로 전환되는데 이 두 유전자에 존재하는 유전자형에 따라 알코올중독의 위험도가 90배 이상 차이가 난다"고 설명하고, "ADH1B 유전자의 47번째 아미노산이 히스티딘(Histidine)인 사람(ADH1B*47His)은 알지닌(Alginine)을 가지고 있는 사람(ADH1B*47Arg)에 비해 아세트알데히드로의 분해가 빠르다"고 전했다.

 또 "ALDH2 유전자의 48번째 아미노산이 글루타민(Glutamine)인 사람(ALDH2*487Glu)은 라이신(Lysine)을 가진 사람(ALDH2*487Lys)보다 아세트알데히드의 아세테이트로의 분해가 빠르며 아세테이트로 분해가 잘 이뤄지지 않은 사람들은 각종 알코올 부작용을 나타내게 된다"고 했다.

 특히 "한국인의 대부분은 서양인에는 나타나지 않은 1차 알코올 분해효소(ADH)가 많은 유전자형을 갖고 있어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이 많은 알코올흡수에도 불구하고 서양인보다 알코올중독환자가 적으며, ADH1B*His와 ALDH2*Lys 두 유전자형은 서양인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변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