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김나영 교수팀, 리코박터균 감염과 대사증후군 연관성 분석
헬리코박터균에 감염 그룹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 유의하게 높아

분당서울대병원 김나영,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임선희 교수(사진 오른쪽)
분당서울대병원 김나영,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임선희 교수(사진 오른쪽)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김나영·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임선희 교수팀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대사증후군의 위험까지 높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김 교수팀은 위에서 서식하고 있지만 위 이외의 전신에 영향을 미치는 헬리코박터균의 감염이 대사증후군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에 전국 10개 대학병원 및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16세 이상 2만1106명을 대상으로 헬리코박터균 감염 및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확인했다.

그 결과 제균 치료 경험이 없는 15,195명 중 43.2%(6,569명)가 헬리코박터균 항체 양성 소견, 즉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15,195명 중 23.7%(3,598)가 대사증후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헬리코박터균 감염 그룹에서 대사증후군 소견이 나타난 경우는 27.2%(1,789명/6,569명)로 감염되지 않은 그룹의 21.0%(1,809명/8,626명)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성별, 연령, 체질량지수, 거주지, 가계소득, 교육정도 등의 인자들을 보정한 후에도 65세 미만에서는 헬리코박터균의 감염이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1.2배 높일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김나영 교수는 "헬리코박터균 감염과 같은 만성적인 감염 상태에서는 이 균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염증성 물질)의 생산과 분비를 촉진해 결국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대사증후군이 유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헬리코박터균에 감염 되면 이 세균에 대항하기 위한 염증세포로부터 혈관 작용물질이나 산화질소가 분비돼 혈압에 영향을 끼친다는 가설 및 인슐린 수용체에 변화를 일으켜 세포들이 혈당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게 돼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 65세 미만에서는 헬리코박터균의 감염과 대사증후군 간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65세 이상에서는 연관성이 없었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헬리코박터균 이외의 다른 요소인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질환 자체가 대사증후군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이라고 분석했다.  

임선희 교수는 "헬리코박터균을 제균 치료한다면 실제 대사증후군의 위험성이 감소하는지에 대한 연구라든가 인슐린 저항성,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제균 이후 생존율의 증가 경향을 확인하면 헬리코박터균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확실한 인과관계를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는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