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김주영 교수팀, 복부 근육과 관련된 심혈관질환 지표 결과 발표
정상체중군이지만 대사학적으로는 비만인 위험군 평가에 유용할 듯

분당서울대병원 김주영 교수(가정의학과)
분당서울대병원 김주영 교수(가정의학과)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김주영 교수(가정의학과)팀이 근육량 대비 복부지방량이 심혈관질환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근육량이 줄면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관상동맥질환과 같은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며, 이로 인한 사망률 역시 증가하는 등 근육 감소는 심혈관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근육 감소를 나타내는 지표로 일정하게 쓰이는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김 교수팀이 근육 감소를 나타내는 여러 지표 중 한국인에게 발생하는 심혈관질환의 위험 요인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를 찾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 

김 교수팀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인 1만7870명을 대상으로 사지 근육량을 (1) 키 (2) 체중 (3) 체질량 지수(BMI) 4) 체지방을 보정한 지표 (5) 근육량과 복부지방의 비율 등 5가지 지표로 나눠 비교했다.

그 결과 비만도에 따라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나타내는 지표에 차이를 보였다.

먼저 체질량 지수가 30 미만으로 고도비만이 아닐 때 심혈관질환을 잘 나타내는 지표는 '근육량 대비 복부지방량'으로 확인됐다. 즉, 근육 자체의 양이 줄어들 때보다는 근육량에 비해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돼있을 때 심혈관질환의 위험도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또한 연구팀은 근육량과 복부지방의 비율이 정상체중군의 심혈관질환을 판단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와 달리 체질량 지수가 30 이상으로 고도비만인 경우에는 '키로 보정한 근육의 절대량' 지표가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주영 교수는 "허리둘레와 같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만도 기준만으로 심혈관질환을 평가하면 저체중이나 정상체중에 있는 사람에게 발생하는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간과하기 쉽다"며 "일례로 아시아인은 서양인에 비해 비교적 낮은 체질량지수를 보임에도 심혈관질환 위험도는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연구에서 증명된 결과는 향후 정상체중군에 속하지만 대사학적으로는 비만인 위험군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될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네이처가 발행하는 SCI급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