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부정맥학회-대한임상순환기학회, 항응고요법 확대 필요성 공감
심방세동 환자 진단 및 NOAC 용량 처방은 '동상이몽'

[메디칼업저버 이현주 기자]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을 위해 항응고요법 사용률을 높여야 한다는데 의료계 의견이 모였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기관간 협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실행방법에서는 개원가와 종합병원 사이 조율이 필요해 보인다. 

대한부정맥학회와 대한임상순환기학회는 8일 '심방세동 환자의 의료기관 간 협력 향상을 위한 공개 토론회'를 개최했다.

부정맥 중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심방세동은 뇌졸중 위험을 4배 정도 높이지만, 아직 국내 심방세동 환자의 항응고요법 사용률은 낮은 실정이다. 

부정맥학회 정보영 학술이사(신촌세브란스병원)는 "이미 2015년 기준으로 5명 중 4명이 항응고요법을 받아야 하는 실정이지만 항응고제 사용률은 20%에 불과하다"며 "지금보다 처방이 4배 이상 커져야 심방세동 환자의 질환 관리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비-비타민 K경구용 항응고제(NOAC)가 와파린을 누르고 심방세동 환자에 처방해야할 항응고제 1순위가 되면서 개원가의 역할론이 부각되고 있다. 종합병원에서 NOAC을 처방하는 것으로는 환자를 커버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날 토론회에서는 개원가와 종합병원 간 협력 방법에 대해 이견을 보였다. 

부정맥학회는 심방세동 진단과 초기 약물결정 역할을 종합병원과 같은 3차 의료기관이 해야 한다는 입장이며, 임상순환기학회는 개원가에서도 충분히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정 학술이사는 "3차 의료기관이 심방세동을 진단하고 약물 용량 등을 결정하면 1차 의료기관은 유지요법을 맡을 수 있다"며 "진단과 첫 약물 투여 시 고려해야 하는 세부내용 등을 개원가에서 모두 챙기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유럽 등에서는 1년에 한번 씩 3차 의료기관을 찾는 방식으로 환자를 관리하고 있어 우리도 이 같은 방식을 제안했다"고 덧붙였다. 

개원가 측 입장은 다르다.

임상순환기학회 김한수 회장(21세기내과)은 "심방세동 진단과 항응고요법 시작을 3차 의료기관에서 해야 되는지 의문"이라며 "심전도 검사와 NOAC 사용을 위한 차드바스크(CHAD2D S2 VASc) 스코어, 꼭 필요한 체크업에 대해 개원가를 트레이닝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부정맥학회 측은 NOAC 사용관련 2∼3시간 코스 교육을 받은 1차 의료기관에 전원하는 이른바 '인증제'를 제안했지만 이 문제 역시 개원가 측은 다른 의견을 피력했다.   

임상순환기학회 한경일 정책부회장(서울내과)은 "인증 보다는 교육이 중요하다. NOAC 사용에 자신이 없다면 상급 의료기관으로 전원하면 된다"며 "하나하나를 인증한다면 결국 규제가 되고 만다"고 지적했다.

결국 심방세동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 간 협력체계가 구축되려면 세부적인 조율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