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정천기 교수팀, 반대쪽 해마가 기억기능 유지한다는 사실 알아내
향후 뇌 수술 여부 및 범위 선택 시 주요한 근거 마련

서울대병원 정천기 교수, 정우람 연구원(사진 오른쪽)
서울대병원 정천기 교수, 정우람 연구원(사진 오른쪽)

[메디칼업저버] 국내 연구팀이 뇌전증(간질)치료를 위해 뇌 일부를 절제해도 기억기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서울의대 정천기 교수(서울대병원 신경외과)와 정우림 연구원이 뇌수술로 해마의 일부를 잘라도 남은 반대쪽 해마의 활성도가 기억기능 유지에 큰 역할을 하며, 절제 후 남은 해마의 뒷부분은 이와 큰 상관성이 없다고 밝혔다. 

성인 뇌전증에 다수를 차지하는 '측두엽뇌전증'은 해마 부위의 경화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측두엽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을 하며, 수술 후 80% 이상의 환자는 호전되거나 완치된다.

하지만 수술을 할 경우 측두엽 안쪽에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가 손상돼 인지·학습기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수술여부와 그 범위를 선택하는데 있어 이를 고려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연구팀은 뇌전증 치료를 위해 내측 측두엽 일부를 절제한 환자들을 모집했다. 이들은 수술 후 평균 6년 넘게 기억기능을 잘 유지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대상자가 단어와 그림을 외우는 과제(단어와 그림 각 100개씩 30분간 암기 후, 총 150개(50개 추가) 중 해당 단어)를 수행하는 동안 기능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해 이들의 해마 활성화 정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수술로 절제한 부위의 반대쪽 해마 활성화 정도가 강할수록 수술 후 기억기능이 좋았으며, 이는 수술 전 보다 기억기능이 좋아진 대상자의 경우도 동일했다. 또한, 왼쪽 뇌를 수술한 환자는 언어기억에서, 오른쪽의 경우에는 시각기억에서 이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때 말하는 경향이란 일반적으로 좌뇌는 언어기억, 우뇌는 시각기억을 담당. 각 부분 절제 시 반대쪽 뇌(해마)가 해당 역할을 대신해 담당한다는 의미다. 

건강한 사람과 비교한 결과에서는, 수술환자의 내측전전두엽과 수술한 반대쪽 해마 부위의 연결성이 강할수록 기억기능이 좋아졌다. 건강한 사람의 뇌에는 이 같은 연결적 특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정우림 연구원은 "해마의 일부분이 없더라도 뇌의 다른 부위가 이를 보완해 기존 역할을 수행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치매와 같은 기억장애 문제 해결에 있어서 실마리를 제공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정천기 교수는 "향후 뇌전증 치료에서 수술 여부와 범위를 선택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기억장애를 최소화 하는 다른 뇌수술 치료법을 고안하는데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희망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신경외과학(Journal of Neurosurgery)과 뇌영상 학술지 휴먼브레인매핑(Human Brain Mapping)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