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스릴러물에 나오는 형사들은 수사 중 실마리가 풀리지 않을 경우 현장을 찾는경우가 많다. 현장에 가면 답이 보이기 때문이다.

지난 22일 제약바이오산업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두 행정기관인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장이 약속한듯이 현장방문에 나섰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JW중외제약을 방문해 17개 제약사 CEO들과 간담회를 가졌고, 류영진 식약처장은 셀트리온 본사를 방문해 바이오의약품 생산 현장과 연구소 등을 둘러보며 바이오시밀러 사업 전반에 대한 설명을 청취했다. 

사실 현재 제약바이오업계는 긍정적인 모멘텀이 없는 모습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신약개발을 통해 기술수출, 글로벌 진출을 기대해 볼 수 있지만 상용화까지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은 등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히고 있다.  

대부분 제약사들의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제네릭 의약품도 올해 변곡점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작년 발사르탄 사건 이후 제네릭 난립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이 모이면서 허가부터 약가까지 전반적인 손질이 예고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염변경 개량신약 출시 전략도 수정이 불가피해지면서 또다른 돌파구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조정된 7.7 약가 우대정책도 반갑지 않다. 혁신형 제약기업, 연구개발 요건 등의 기준이 없어지면서 국내 제약사들의 신약이 약가우대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돼버렸기 때문이다. 요원할 것으로 보이는 리베이트 조사도 여전한 불안요소다.  

이제는 의약품 시장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바이오 분야는 다소 긴 허가심사기간이 빠른 상품화의 걸림돌이다.

두 수장을 향한 현장의 의견은 이 같은 현실적인 불안요소를 제거하고 경쟁력 강화와 업계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을 요청하는 내용이었다.  

지난 몇년간 정부는 제약바이오산업을 육성시켜야 하는 핵심산업이라고 말해왔다. 실제 2차례에 걸쳐 제약산업육성책도 발표했다. 하지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업계 목소리를 직접 듣고 스킨십을 늘리는 복지부 장관과 식약처장의 행보는 또다시 기대감을 갖게 한다. 잠재력을 가진 제약산업이 실제 미래동력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길, 현장의 목소리가 공허한 외침이 되지 않도록 정부가 현명한 지원방안을 내놓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