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골절 예방 프로그램, 골절 환자 사망률 감소 및 의료 비용 절감 효과
복지부 "도입 필요성 인식하나, 다학제 수가 및 전체적인 틀에서 검토 필요해"

▲24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노인 골절 환자의 재골절 예방과 재활의료를 위한 정책공청회’에서는 노인 골절 예방을 위한 활발한 논의와 제언이 오갔다.

[메디칼업저버 최상관 기자]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 중 하나인 골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골절 및 재골절 문제로 고통받는 노인 환자가 늘어나고 있고, 의료 비용도 함께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24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노인 골절 환자의 재골절 예방과 재활의료를 위한 정책공청회’에서는 노인 골절 예방을 위한 활발한 논의와 제언이 오갔다.

이날 공청회에서 중앙의대 하용찬 교수(중앙대병원 정형외과)는 국내 노인 골절의 심각성을 조명하며 노인 골절 문제 예방을 위한 ‘재골절 예방 프로그램’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재골절 예방 프로그램은 노인 골절 환자의 골다공증 유병 여부를 확인하고, 환자에게 골다공증 치료, 관리 정보를 제공해 재골절을 예방하는 서비스다. 현재 미국, 영국 등 전 세계 30여 국가에서 운영 중이다.

우리나라 노인인구 증가 추세에 비춰봤을 때 2016년부터 2025년까지 고관절 골절 환자는 3만 5729명에서 5만 1259명으로 약 1.4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고관절 골절은 1년 내 사망률이 17.4%에 이르는 등 예후가 심각하므로 예의주시해야 하는 부분이다.

하 교수는 노인 환자의 재골절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다만 재골절 예방을 위한 전문적인 코디네이터가 현재 국내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 ‘한국형 재골절 예방 프로그램’ 모델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전자 의무 기록 시스템에 골다공증 골절을 알려 의료진이 다학제적인 접근으로 노인 골절 환자를 치료하고, 개별 환자에 맞는 재활 치료를 통해 재골절을 예방하는 시스템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구상하고 있다.

하 교수는 “한국형 재골절 예방 프로그램은 골다공증성 재골절 예방을 통해 골절 환자의 삶의 질 저하를 막을 수 있다”며 “경제적 타당성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국가의 의료 비용 지출 절감 등 여러 요소를 고려했을 때 정책적인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국형 재골절 예방 프로그램은 효과는 3개 급성기 병원에서 수행한 임상 시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의대 임재영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가 공개한 임상 시험에 따르면, 재골절 예방 프로그램을 수행한 환자는 단순 재활 치료 환자 및 비재활 환자와 비교해 보행 및 이동 기능의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골절 예방 프로그램 수행 환자는 1년 후 사망률이 5.1%로 비재활군(10.3%)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임 교수는 “현재 재활의료 체계에서는 재골절 예방 프로그램의 임상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정책적 지원이 따라야 한다”며 “보험급여 체계 마련, 전문가간 협업 및 의사소통, 급성기 집중재활치료 후 만성기 재활이 가능한 의료전달체계 구축, 환자 인식 제고 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보건복지부 이중규 보험급여과장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 보건복지부 이중규 보험급여과장은 재골절 예방 프로그램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화답하면서도, 그 구성 방안에 대해서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과장은 “복지부에서 재활에 전반적으로 관심이 많다. 올해 하반기부터 회복기 재활 의료기관에 대해 별도의 수가 체계를 갖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건강보험측면에서 다학제 수가 관련 부분은 추가적으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급성기 골절 환자뿐만 아니라, 급성기에서 전원된 회복기 환자가 최종적으로 유지기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틀에서 검토가 필요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이번 세미나는 윤일규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노인병학회, 대한재활의학회가 공동 주관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