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임동희·가톨릭의대 임현우 교수 공동 연구팀,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
연구팀 "조기 검진 통해 근시 발병 늦추고 악화 막아야"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부모 모두 근시로 안경을 끼고 있다면 자녀 눈 건강에 특별히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을 보인다. 

삼성서울병원 임동희 교수(안과)와 가톨릭의대 임현우 교수(예방의학과) 연구팀이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한 결과, 부모 모두 근시라면 자녀의 근시 위험이 최대 11.4배까지 높았다.

이와 함께 부모 중 한 쪽이라도 근시라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녀의 근시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부모의 근시 정도가 심할수록 이러한 연관성이 뚜렷해지는 만큼 더욱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 동안 진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토대로, 해당 기간 2344가정에서 5세 이상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3862명과 부모 시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전체 소아청소년 중 64.6%(2495명)가 근시였다. 마이너스(-) 0.5 디옵터(D) 이하 경도 근시인 소아청소년은 1553명이었고, -3.0D 이하 중등도 근시는 734명, -6.0D 이하 고도 고시는 208명이었다. 

연구에서 분석한 전체 소아청소년 시력.
▲연구에서 분석한 전체 소아청소년 시력.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부모의 근시가 자녀에게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자 부모의 굴절 도수에 따라 자녀의 근시 유병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부모 모두 근시이거나 근시 정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근시 유병률이 증가하고 근시 정도가 심했다. 

부모 모두 근시가 없을 때 (>-0.5 D) 자녀의 근시 유병률은 57.4%로 전체 평균 64.6%를 밑돌았으나, 부모가 근시가 있는 경우 68.2%로 평균을 넘어섰다. 

부모 시력이 가장 나쁜 고도 근시(-6.0D 이하)에 해당하면 자녀의 근시 유병률은 87.5%로 껑충 뛰었다.

자녀의 근시 유병률비를 계산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부모 중 한 명만 -0.5D 이하라도 근시 유병률이 1.17배 높았다. 부모 모두 -0.5D 이하면 1.34배 상승했다.

부모의 근시에 따른 자녀의 근시 유병률비.
▲부모의 근시에 따른 자녀의 근시 유병률비.

특히 -6.0D 이하 고도 근시에서 이러한 차이가 두드러졌다. 자녀에게서 고도 근시가 나타날 확률은 부모의 근시 정도에 따라 적게는 1.46배에서 많게는 11.41배까지 치솟았다.

소아청소년의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 성별, 비만도 등 다른 요인을 감안해 통계적으로 보정한 뒤 나온 결과로, 부모의 근시와 자녀의 근시 사이의 인과관계가 확인된 셈이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데 대해 연구팀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근시인 부모가 관련 유전적 소인을 자녀세대에 물려주게 되고, 근시 발병 및 진행을 부추길만한 주변 환경이 더해지면서 근시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때문에 연구팀은 부모가 근시라면 자녀에게서 근시가 나타나는 시기를 최대한 늦추고, 근시 정도가 심해지지 않도록 세심히 살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일반적으로 근시가 5~15세에 시작되고, 11세 이상의 소아청소년기에 유의하게 유병률이 높다고 알려진 만큼 이 기간에 자녀가 눈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스마트폰 사용 등 시력을 해칠만한 환경을 피하면서, 정기검진을 통해 안구 변형과 시력 변화를 조기에 발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교수는 "부모의 근시가 자녀의 근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그렇다고 예방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며 "자녀의 시력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어릴 때부터 전문의 검진과 함께 유해한 환경을 차단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PLoS One' 11월호에 실렸다(PLoS One 2018 Nov 26;13(11):e0207690).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