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I 26~28이상부터 암사망률 늘어

노인보다 중년층 비만이 더 위험

세계최대규모 역학 공동조사 진행

 비만도(BMI)와 암 발병률은 비례하고, 노인보다는 중년층 비만이 더 위험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세대 보건대학원 지선하 교수팀과 국민건강보험공단, 미국 존스 홉킨스대 보건대학원 연구팀은 1992년부터 공동으로 공단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을 받은 120여만명을 대상으로 세계최대 규모 역학연구를 해오고 있다.

 그 결과 비만도(BMI)가 높을수록 암 발병률은 남녀 평균 1.5배 증가(신장암은 3.5배)하고 심혈관 및 뇌혈관질환 발병은 2.4배 이상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비만의 영향은 노인보다는 중년층의 비만이 훨씬 더 위험하며, 특히 비만도는 낮을수록 좋고 저체중이라 해도 이것 자체로는 건강위험요인이 아니라는 사실이 처음으로 규명됐다.

 연구팀은 한국인 30~95세 120만명 이상을 12년 동안 전향적 추적연구를 통해 비만(체중)이 사망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연구 기간 중 8만2372명이 암(2만2249명)과 심뇌혈관질환(1만468명), 호흡기질환(2442명) 등으로 사망했다.

 연구결과 암 사망률은 BMI 26~28 이상부터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비만도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계속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지금까지 보건학계 정설이던 저체중과 비만을 가진 이 모두에서 사망률이 증가한다는 "J-커브 설"은 저체중과 호흡기질환 발병에 대한 원인의 앞뒤를 바뀌어 생긴 오류(reverse causation)에 기인한다는 사실이 이번 연구에서 확인됐다.

 지 교수는 "이는 마른 사람도 조기 사망률이 높다는 이유로 저체중과 비만이 모두 사망률을 높이는 위험 요소인지에 대한 논란을 매듭지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시 말해 이번 연구에서 저체중자인 호흡기질환자들이 그 질환이 발병함에 따라 체중 감소를 가져온 것이지, 저체중 자체가 호흡기질환을 야기, 조기 사망률을 높였던 요소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오류를 바로 잡고 분석한 결과 비만도 수치에 비례해 심뇌혈관질환과 암 사망이 증가했다. 무엇보다 비만도는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콜레스테롤, 혈압, 공복혈당, 백혈구 수치 상승과 강력히 연관되어 있음이 확인되면서 이들 요인은 비만과 심뇌혈관질환의 중간요인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50세 미만 중년층의 비만이 조기 사망률을 가장 증가시킨 반면 65세 이상 노년층의 비만은 사망률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암 사망과 심뇌혈관질환 사망자 공통으로 흡연자에서 보다는 비흡연자에서 비만과의 관련성이 입증되면서 미래의 가장 큰 보건 위해요소는 비만임을 경고했다. 이번 연구에서 전체 사망은 비흡연자이면서 비만도 23~24.9인 집단이 가장 낮았다.

 지 교수는 "현대인의 사망 원인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심뇌혈관질환, 암 발병의 근본 원인이 비만이라는 사실이 학문적으로 규명됐다"며 "향후 사망에 이르는 가장 위협적인 요소는 비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