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급성 심장정지 환자 약 3만 건 발생…생존율 8.7%·뇌기능 회복률 5.1%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지난해 급성 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이 11년 전인 2006년보다 4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와 소방청(청장 조종묵)이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 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 2017년 급성 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총 2만 9262건으로 생존율은 8.7%, 뇌기능 회복률은 5.1%로 파악됐다. 

2006년과 비교하면 급성 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50% 이상 상승했으나,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은 각각 3.8배, 8.5배 증가한 긍정적인 결과였다. 

▲ 2006~2017년 급성 심장정지 생존율 및 뇌기능 회복률 추이.

질본과 소방청은 2008년부터 급성 심장정지조사를 실시해 2006~2017년 급성 심장정지가 발생한 환자를 파악했다. 

분석 결과 급성 심장정지 발생 건수는 △2006년 1만 9480건 △2011년 2만 6382건 △2015년 3만 771건 △2017년 2만 9262건으로 확인됐다. 

인구 10만명 당 발생률은 △2006년 39.8명 △2011년 52.6명 △2015년 60.4명 △2017년 57.1명으로, 2015년까지 급성 심장정지 발생이 증가하다 이후 감소 추세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환자 비율은 남성이 64~65%로, 여성보다 약 2배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 심장정지의 주원인은 '질병'이었고, 전체 발생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질병 중에는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 기능부전으로 인한 심장정지가 95% 이상이었다. 이와 함께 전체 환자의 약 50%가 가정에서 급성 심장정지를 경험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11년간 전체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 및 뇌기능 회복률은 증가했으나, 지역 간 차이는 크게 벌어졌다. 

지역 간 급성 심장정지로 인한 생존율 차이는 2006년 4.2%p에서 2017년 8.6%p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지역 간 뇌기능 회복률 차이는 △2006년 1.6%p △2016년 7.3%p △2017년 5.9%p로, 2016년 대비 2017년에 차이가 줄었으나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었다.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2008년 1.9%에 비해 2017년에는 21%로 약 11배 증가했다. 그러나 지역 간 심폐소생술 시행률 격차 역시 각각 2.5%p와 26.9%p로 함께 증가하고 있었다.

▲ 2006~2017년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추이 및 격차.

심폐소생술 국민운동본부 하정열 이사장은 "심장정지 환자 발견 시 신속히 119에 신고해야 한다"며 "심장정지가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우리 모두가 심폐소생술에 관심을 갖고 익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국가 심장정지 조사·감시 자문위원회장인 오동진 교수(한림의대 심장내과)는 "급성 심장정지조사는 정부의 노력과 의료기관의 협조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국가조사통계지표를 생산하고 있다"면서 "이를 기반으로 관련 인프라 개선과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질본과 소방청은 22일 서울 SETEC 국제회의실에서 '제7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공동으로 개최해 이번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지역 간 격차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