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DOM Follow-On 약 8년 추적관찰 결과, CABG군이 PCI군보다 사망률 낮아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다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관상동맥우회술(CABG)과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의 장기간 생존율 성적표가 엇갈렸다.

FREEDOM Follow-On 연구 결과, CABG 또는 PCI 시행 후 약 8년 이내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은 CABG를 받은 환자군이 PCI를 받은 환자군보다 낮았다.

이번 연구는 2012년 발표된 FREEDOM 연구를 토대로 진행됐다. FREEDOM 연구는 CABG를 받은 다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가 PCI를 받은 이들보다 3.8년 후 주요 심뇌혈관 사건 발생률이 낮아, 다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CABG가 우수하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이에 미국과 유럽 등 가이드라인에서는 다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게 CABG를 가장 강력하게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을 장기간 추적관찰했을 때에도 CABG가 PCI 대비 우월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는 근거가 부족했다. 

이에 미국 마운트시나이의대 Valentin Fuster 교수팀은 FREEDOM 연구에 참여한 다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를 추가로 추적관찰한 FREEDOM Follow-On 연구를 진행해 CABG 또는 PCI에 따른 장기간 사망률을 비교·평가했다. 

FREEDOM 연구에 참여한 의료기관 및 환자들에게 FREEDOM Follow-On 연구에 참여할지 여부를 확인했고, FREEDOM 연구에 포함된 의료기관 총 140곳 중 25곳이 이번 연구에 참여 의사를 밝혔다.

최종적으로 FREEDOM Follow-On 연구에는 기존 연구에 참여한 1900명 중 943명(49.6%)이 포함됐다. 이 중 CABG를 받은 환자군(CABG군)은 465명, 약물 용출 스텐트(DES)로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은 환자군(PCI-DES군)은 478명이었다. PCI-DES군은 파클리탁셀 용출 스텐트(paclitaxel-eluting stent) 또는 시롤리무스 용출 스텐트(sirolimus eluting stent) 시술을 받았다. 

추적관찰(중앙값) 7.5년 동안 사망한 전체 환자는 총 314명이었다. FREEDOM Follow-On 연구에 참여한 환자군 중 사망자는 110명, FREEDOM 연구에서 확인된 사망자는 204명이었다. 

먼저 FREEDOM Follow-On 연구에 참여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분석한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은 CABG군이 18.7%, PCI-DES군이 23.7%로 조사됐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은 PCI-DES군이 CABG군보다 1.32배 높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HR 1.32; 95% CI 0.97~1.78; P=0.076).

이어 연구팀은 FREEDOM Follow-On 연구뿐만 아니라 FREEDOM 연구에 참여한 전체 환자군을 대상으로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을 평가했다.

그 결과 CABG군이 18.3%, PCI-DES군이 24.3%로,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은 PCI-DES군이 CABG군 대비 1.36배 높았다(HR 1.36; 95% CI 1.07~1.74; P=0.01).

아울러 CABG의 생존 혜택은 63.3세 이하의 젊은 환자군에서 더 큰 것으로 확인됐다(P=0.01).

Fuster 교수는 "CABG를 받은 다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군은 PCI-DES를 받은 환자군보다 장기적으로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이 낮았다. 연령에 따른 하위분석에서는 젊은 환자에서 CABG의 생존 혜택이 컸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는 다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게 CABG를 고려해야 한다는 현 권고안을 뒷받침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 보스턴 메디컬센터 Alice Jacobs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앞선 FREEDOM 연구와 동일하게 다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게 CABG가 더 좋은 치료전략임을 시사한다"며 "새로운 DES 기술이 진화하면서 CABG 혜택이 줄어들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CABG가 이처럼 성공적인 결과를 보인 이유는 새로운 질환에 대한 심근 보호 효과가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11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심장협회 연례학술대회(AHA 2018)에서 발표됐고 동시에 JACC 온라인판에 실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