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의대 손민균 교수 "운전 복귀에 대한 국내 기준 없어…체계적인 평가법 마련해야"

▲ 충남의대 손민균 교수는 9일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에서 열린 '뇌졸중 재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심포지엄'에서 '뇌졸중 후 운전기능 회복 예후'에 대한 주제로 발표했다.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뇌졸중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체계적인 평가법 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충남의대 손민균 교수(충남대병원 재활의학과)는 "우리나라는 뇌졸중 환자가 운전하는 것(이하 운전 복귀)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이 없다"며 "뇌졸중 환자의 운전 복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9일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에서 열린 '뇌졸중 재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심포지엄'에서 강조했다.

손 교수가 이 같이 주장한 까닭은 뇌졸중 환자의 사회 복귀에 운전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뇌졸중재활코호트연구단(KOSCO)이 질병관리본부 지원을 받아 시행하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수준 관련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연구(KOSCO)' 결과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 중 66.1%가 뇌졸중 발생 1년 시점에 운전 복귀를 했으며 평균 운전 복귀 시점은 2.15개월이었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의 자동차 사고 위험은 뇌졸중이 없는 이들보다 2~8배 높은 것으로 보고된다. 운전 시 운동, 시지각, 인지 등 다양한 기능 능력이 필요하지만 뇌졸중이 발생하면 시각기능 장애, 운동기능 장애, 인지기능 장애 등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위험 때문에 뇌졸중 환자가 운전 복귀를 하지 못한다면, 오히려 이들의 우울감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사회로부터 격리될 가능성이 있고 의료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즉 뇌졸중 환자의 사회 참여 및 삶의 질 측면에서 운전 복귀가 필요하다는 게 손 교수의 전언이다. 

문제는 뇌졸중 환자가 운전 복귀 시 운전 교육을 제대로 받았는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KOSCO 결과에 의하면, 운전 복귀자 중 운전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이들은 80.2%였다. 운전 미복귀자가 운전 교육을 받았다고 답한 비율은 16.7%로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그러나 이 결과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운전 교육을 받았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이들이 실제 어떤 교육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운전 복귀를 위해 지인 등 비전문가로부터 받은 운전 교육도 결과에 포함됐기에, 뇌졸중 환자가 실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지는 파악하기 어렵다.

이는 우리나라에 뇌졸중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이 없다는 문제로 귀결된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과 캐나다는 뇌졸중 발생 후 최소 1개월이 지났을 때 운전을 하도록 권장하면서, 편측공간 무시 또는 부주의가 있는 환자는 증상이 완화되거나 운전이 가능하다는 평가를 받을 때까지 운전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에 손 교수는 국내 뇌졸중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운전 가능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뇌졸중 환자의 초기 운전 제한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와 함께 운전 복귀 여부를 선별할 수 있는 검사 기준이 필요하며, 이들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방법도 함께 제시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좌장을 맡은 인하의대 정한영 교수(인하대병원 재활의학과)는 "뇌졸중 환자가 자동차 사고를 겪었을 때 드는 사회적 비용이 상당하다"며 "(뇌졸중 환자의 운전 복귀에 대해) 국가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손 교수는 뇌졸중 환자의 운전 복귀를 위해 재활의학과 의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재활의학과 의사들은 뇌졸중 환자가 어떻게 운전 재활치료를 받아야 할지 또는 뇌졸중 환자가 중도 장애인이 됐을 때 의료시스템과 운전면허 제도를 어떻게 연계해야 할지 등 (제도적 장치 마련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