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병원 이경실 교수팀 심근경색 50% 상승

 

빈혈 등 헤모글로빈 농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난 젊은 여성은 10년 뒤 급성심근경색, 뇌졸중, 뇌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이 높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앙대병원(원장 김명남) 건강증진센터 이경실 교수팀과 서울대병원 건강증진센터 연구팀은 ‘젊은 여성에서 헤모글로빈 농도 및 그 변화가 뇌심혈관계질환 및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논문을 최근 발표했다.

이경실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국가건강검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뇌심혈관질환이 없는 우리나라 20세부터 39세까지의 젊은 여성 80만명을 대상으로 헤모글로빈 농도 및 2년간의 헤모글로빈 변화가 10년 후 뇌심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헤모글로빈 농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나 빈혈이나 혈색소가 증가한  20~30대 젊은 여성의 경우, 10년 뒤 급성심근경색, 뇌졸중, 뇌혈관질환 및 총 사망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빈혈이 개선된 경우 사망 위험이 낮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헤모글로빈이 12.0g/dL 미만인 경우 빈혈, 12~13.9g/dL인 경우 정상 범위, 14.0g/dL 이상인 경우 헤모글로빈이 높은 군으로 구분해 젊은 여성들의 헤모글로빈 농도에 따른 뇌심혈관질환 위험도 및 사망률을 10년간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헤모글로빈 농도가 12.0g/dL 미만이거나 14.0g/dL 이상인 경우 뇌졸중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고, 12.0g/dL 미만인 경우 총 사망위험도 증가한 것을 확인했으며, 급성심근경색, 뇌졸중, 뇌혈관질환 및 총 사망위험 모두 헤모글로빈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범위에서 유의하게 그 위험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

또한, 헤모글로빈의 2년간의 변화와 심혈관질환 및 총 사망위험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헤모글로빈 농도가 증가한 경우 10년 후 급성심근경색 및 뇌졸중의 위험이 각각 50%와 10%씩 상승하였으며, 빈혈인 여성이 2년 후 정상범위 헤모글로빈 농도로 개선되었을 때 2년 후 총 사망위험이 20%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이경실 교수는 “지금까지 헤모글로빈 농도나 빈혈과 뇌심혈관위험도를 보는 연구들은 대부분 다른 심각한 질병이 있거나, 중년 이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는데, 이런 경우 빈혈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여 관련성이 확인되더라도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이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이경실 교수는 “반면, 젊은 여성에서의 빈혈은 90% 이상이 철결핍성 빈혈인데, 보통 건강한 젊은 여성의 경우 본인이 빈혈이라 하더라도 철분제 복용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복용을 거르는 경우가 많아 빈혈의 개선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며, “그런데 이번 연구를 통해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는 젊은 여성의 빈혈도 개선이 되면 급성심근경색, 뇌졸중, 뇌혈관질환 및 총 사망위험을 낮출 수 있으므로 철분제의 꾸준한 복용과 정기적인 헤모글로빈 선별검사가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준다”고 말했다.

한편, 중앙대병원 건강증진센터 이경실 교수팀의 이번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미국심장학회지(Journal of American Heart Association)’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