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동 개발…진단 정확도 최대 '95%'

▲ 삼성서울병원 나덕렬 교수·한국과학기술연구원 최지현 박사·전북대병원 김고운 교수는 뇌과학에 기반한 시나리오로 만든 영상을 토대로 치매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7분짜리 미니 드라마 한 편을 보는 것만으로도 치매를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삼성서울병원 나덕렬 교수(신경과)·한국과학기술연구원 최지현 박사·전북대병원 김고운 교수(신경과)는 뇌과학에 기반한 시나리오로 만든 영상을 토대로 치매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게다가 인지기능장애 또는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기술의 정확도를 검증한 결과, 정확도를 가늠하는 민감도가 최대 95%에 달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영상은 생일을 맞은 1명과 파티에 초대받은 6명에게 일어나는 상황을 중심으로 한 미니 드라마다. 

상영시간은 7분에 불과하지만 등장인물, 배경, 소품, 어투 및 억양 등 모든 요소가 사전에 치밀하게 계산돼 개인의 인지기능 평가에 최적화됐다. 

검사는 피험자가 드라마를 모두 시청한 뒤 관련 내용 등에 대한 설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이뤄진다. 드라마 전체 분량을 360도 카메라로 촬영해 영상을 구성한 것도 돋보이는 대목이다.

피험자는 HMD(Head Mounted Display)를 착용한 상태에서 영상을 시청토록 해 마치 실제 현장에 있는듯한 느낌이 들도록 했다. 

기존 검사가 여러 단어를 나열하고 제한된 시간 안에 외우라는 등 일종의 시험과 같았다면, 새 진단법은 피험자의 인지기능이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제대로 작동하는지 알아보는 데 주안점을 둔 것이다.  

영상을 보고 설문에 답한 피험자의 답변 내용은 기계학습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거쳐 만든 알고리즘으로 풀어냈다. 

실제로 연구팀이 주관적 인지기능장애 환자나 경도인지장애 환자, 치매 환자 등 52명을 대상으로 시험의 정확성을 검증한 결과, 민감도는 93.8~95.1%로 조사됐다. 

영상을 본 피험자의 답변 내용만으로도 해당 피험자가 정상이거나 △경도인지장애 △치매 등의 환자인지를 감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경도인지장애를 보다 세분화해, 치매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아밀로이드 양성인 환자도 새 진단법으로 가려낼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는 향후 확진 시 필요한 핵의학검사(PET) 대상자를 간추릴 수 있어 불필요한 검사를 사전에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덕렬 교수는 "기존 검사는 환자의 긴장도를 불필요하게 높일 뿐 아니라 실생활에서 필요한 인지 능력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치매를 되돌릴 방법은 아직 없지만, 늦출 수 있는 기회가 존재하는 만큼 간편하고 손쉬운 검사로 조기 진단이 이뤄지는 토대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새 진단법은 국가기술연구회 치매DTC사업단(사업단장 배애님)의 지원으로 삼성서울병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공동 연구해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 최근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