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보건의료학회 추계학술대회, 모자보건·감염성질환·비감염성질환·정신질환별 대책 언급

▲통일보건의료학회 추계학술대회가 4일 연세의료원 에비슨의생명연구센터에서 개최됐다.

미래 통일 한반도를 대비해 북한의 각 질환에 대한 대책 마련이 촉구됐다.

통일보건의료학회는 4일 연세의료원 에비슨의생명연구센터에서 개최한 추계학술대회에서 남북한 통일 과제 중 하나로 북한의 각 질환 실태 파악 및 대책 마련 필요성을 강조했다.

세부 내용으로는 △모자보건 △감염성질환 △비감염성질환 △정신질환 등이 차례로 언급됐다.

‘모자보건’은 모성과 아동의 생존 및 건강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일컫는다. 가임기 여성과 6세 미만 아동이 해당한다.

북한의 모자보건 실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해 북한의 영아 사망률은 출생 1천 명당 12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이 1천 명당 2.8명에 불과한 것과 비교해 약 7배의 건강 격차 수준을 보인다.

아동의 영양 수준도 심각하다.

5세 미만 아동의 만성영양결핍 비율은 지난 2000년 45.2%를 기록했다. 점차 감소 추세여서 지난해 기준으로는 19.1%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특히 이는 12~23개월, 48~50개월 아동에서 두드러져 각각 36.8%, 35.4%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황나미 연구위원은 자연재해에 따른 식량부족, 의료기반 붕괴를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았다.

이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그는 “지역 거버넌스로 긴급구호체계를 구축, 전문인력 역량 강화, 생식건강 프로그램을 통해 최종적으로 남북한 건강수준 격차를 완화하고, 이질적 제도를 단계적으로 통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감염성질환에 대해서는 남북 간 협력을 단계적으로 이뤄나가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북한은 감염질환 중 특히 내성균이나 신종감염병에 대한 대응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는 사회주의 체제 전환국의 경험과 북한의 사회문화적 실태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 

또한 국가 재정의 대외의존도가 높으며 중앙 통제력이 약화돼 있는 점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의료원 이혜원 교수(가정의학과)는 “이번 3차 남북 합의문에서 언급된 것처럼 상호간 협력을 통해 긴급 지원이 가능하도록 법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소통 채널을 초기에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감염성질환 관리를 위해 초기 긴급조치를 포함한 중·장기적인 인프라 및 통제체계 구축을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비감염성질환은 통일 이후 가장 문제가 될 질환으로 언급됐다.

일반적으로 통일을 대비해 감염질환 분야를 우선 다뤄야 한다고 알려졌기에 이례적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 북한에서 심혈관질환은 북한 전체 사망의 1/3을 차지할 정도로 가장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

고대의대 김신곤 교수(고대안암병원 내분비내과)는 북한 주민의 흡연, 과도한 염분 섭취, 생활습관과 북한의 의료체계 붕괴 등을 그 이유로 지목했다.

이어 그는 “감염성질환 문제 해결을 위해 우선 노력해야 하나, 중·장기적으로 비감염성질환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끝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도 촉구됐다.

70년간 서로 다른 체제와 문화 속에서 살아온 만큼 남북한 차이가 가장 크게 벌어진 것이 정신 건강 영역이라는 이유다.

성균관의대 김석주 교수(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는 “사회주의 체제 변환으로 자살률이 급증한 국가가 많다”며 “특히 현재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인 남한과 개방 후의 북한을 고려했을 때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신질환 대책으로는 △임상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 및 대비 △정치적 장벽을 넘어선 정신의학 교류 △정신 보건 제도 대비 △사회적 편견 극복 △사회·문화·경제적 간극 극복 등이 언급했다.

김 교수는 “의학 교육 및 전문의 양성 제도 정비, 주민 교육 및 관련 연구 강화 등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