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어린이) 청소년 비만도를 가리키는 신호가 주의 수위를 넘어 경고를 가리키고 있다. 정상으로 되돌려야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를 막을 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대한민국의 미래인 어린이들이 더 뚱뚱해지기 전에 중재법 개발이 절실하다.

최근 인재의대 강재헌 교수가 보고한 어린이 2017년 비만율은 17.3%다(학생건강검사 표본통계 기준).

이는 5년 전보다 2%P가 더 증가한 수치다. 단편적으로 매년 0.4%씩 증가한 셈이다. OECD 평균도 넘어섰다. 통제장치가 없는한 더 증가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그런데도 국내 소아청소년 비만율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은 사실상 상담외에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실 소아 청소년 비만 환자는 병원에 오지도 않는다. 어쩌다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면 상담을 통해 식습관 개선과 운동요법을 권장하는 정도다.  

이마저도 꾸준히 관리해야 하는 것이 핵심이지만 그 역할을 부모가 떠안으면서 제대로된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창 먹어야 할 시기에 먹지 못하는 모습을 보는 순간 부모의 마음이 바뀌면서 실패로 이어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비만 성인 환자에게 쓸 수 있는 약물도 소아 청소년에는 쓸 수 없다. 아직 소아에게 허가된 약물은 없기 때문이다. 향정신성 약물을 투여하는 것을 허락하는 부모도 드물다. 대사수술도 성장기인 소아청소년은 적용 대상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소아 청소년 비만환자에게 쓸 수 있는 중재는 식습관 조절과 운동 권고가 유일하다. 하지만 비만율의 심각성을 인지한다면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간 현실적인 치료 및 예방 중재안이 필요하다.

일단 소아 청소년 비만이 스크리닝 될 수 있는 연계 프로그램부터 개발해야 한다. 학교와 인접 병원간 연계를 통한 학생들의 관리 제도를 만드는 것이 대안이다. 이는 비만을 조기에 막을 있는 유일한 해법이다.

소아 비만을 위한 치료제 개발도 필요하다. 어린이에게 비만약을 썼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약물의 개발하는 일이다. 체중이 보통 성인에 육박한다고 성인용 비만약을 쓰는 문제는 윤리적 측면에서 예민하고 첨예한 부분이다.

어떤 부작용이 어떻게 나타날지도 모른다. 낙인효과도 고려해야 한다. 이는 어린이 대상 연구밖에 해결할 길이 없다.

성공적인 비만 탈출을 위해 관리 프로그램도 필수다. 판단력과 자제력이 부족한 어린이들을 위한 지속적 상담관리의 역할이 필요한데, 해외 사례를 보면 IT 기반의 모바일 프로그램의 효과가 속속 입증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도 이런 좋은 사례를 도입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범부처 비만종합대책(7/27)에는 소아 청소년 비만에 대한 심각성이 언급돼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중재안이 없다는 것은 아쉽다.

이번에 포함된 정책은 아동 청소년 체육활동 강화 정도다. 학생 주도의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해 우수학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전략과 저소득층 스포츠 복지 강화를 위해 스포츠강좌이용권 지원이 전부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체육활동만으로 소아 청소년 비만율을 억제할 수 없고, 다양한 정책과 전문가 상담 및 의료적 치료 프로그램이 동반되야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아직 시간이 있다. 무엇보다 정부가 소아 청소년 비만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는 만큼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