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블록 이은솔 대표 ...올해 말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정보 오픈 플랫폼 선보일 예정

[눈여겨볼 만한하다. 헬스케어 스타트업 ⑤ 메디블록

IT기술과 헬스케어를 접목한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전 세계 헬스케어 관련 앱은 약 16만 5000개로 전체 앱 시장의 9%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뜨거운 분야다. 또 지난 2015년 미국에서 투자를 받은 스타트업 40%가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일 정도로 이 분야는 그야말로 핫하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디지털 헬스케어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맞춤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아이디어들이 쏟아지고 있다. 당뇨병 등 만성질환 관리에서부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진단, 앱을 이용한 아토피 관리, 가상현실에서 수술 연습 등 분야도 넓고 다양하다. 이에 본지는 성장 동력으로 일컬어지는 헬스케어 스타트업 중 눈에 띄는 회사 몇 곳을 선정했다. 

▲ 메디블록 이은솔 대표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지금은 환자가 병원에서 진료받고 여러 검사를 하지만 그 데이터를 가질 수 없다. 심지어 자신의 정보임에도 제대로 볼 수조차 없다. 하지만 앞으로 이런 불편함을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자신의 휴대폰에서 진료 데이터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데이터의 소유권까지 환자가 갖게 되는 세상이 도래하고 있다.

개인건강정보 블록체인 플랫폼 회사인 메디블록(MediBloc)의 등장으로 가능해질 미래다. 회사 이은솔 대표는 한양의대를 졸업한 영상의학과 전문의로 과학고 시절부터 각종 컴퓨터 경진대회에서 이름을 날리던 유명인이기도 했다. 최근에는 의료계에서 블록체인 분야의 차세대 리더로 주목받고 있다.  

- 메디블록 서비스란 무엇인가?
메디블록은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정보 오픈 플랫폼이다. 지금까지는 환자가 진료받은 정보는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다. 그래서 활용하기 어려웠다. 메디블록 서비스를 이용하면 환자는 병원에서 진료받은 정보뿐 아니라 스마트 폰으로 생성한 모든 의료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환자가 모은 정보는 메디블록 플랫폼을 통해 다른 참여자에게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한다. 이때 환자는 자신의 건강정보에 관한 접근 권한을 대상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자신의 의료 정보에 대한 소유권과 관리 권한을 환자 자신이 갖는 것이다. 

- 메디블록 서비스를 환자가 이용했을 때 이득은?
자신의 건강정보를 언제든지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자신이 건강검진을 언제 해야 하는지, 초음파 검사에서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 등 자유롭게 알 수 있다.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메디블록이 환자의 의료 데이터를 쌓고 분석하기 때문에 손쉽게 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 메디블록에서 환자에게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환자가 선택할 수 있다. 코칭이나 AI 서비스는 유료지만 나머지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한다.   

- 병원들에도 장점이 있는지 궁금하다.
효율적인 진료가 가능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환자의 휴대폰에 진료기록과 라이프로그 등 통합된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되기 때문에 환자가 병원에 올 때 이를 의료진에게 보여주면 된다. 또 병원 경영 측면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병원에서 제대로 데이터 관리가 안 되는 지금은 검사를 반복적으로 하게 되고, 환자의 비용 부담을 증가시킨다. 그런데 메디블록은 이런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 메디블록 이은솔 대표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메디블록은 규모가 작은 병원들에 더 매력적일 수 있다. 서울아산병원이 '내 손 안의 차트'를 운영하고 있는데, 빅5 병원이 아니라면 환자 데이터 관리를 하기 어렵다. 지난 4월 한양대의료원, 경희대 치과병원, 베스티안병원이 메디블록과 MOU를 체결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다.
 
- 병원과 병원 간 데이터 교류도 메디블록으로 가능한지 궁금하다. 
올해 1~6월까지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데이터 교류가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개념증명인 'Proof of Concept(PoC)'를 시행했다.

서울대병원에서 진료받았던 환자 데이터가 분당서울대병원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는 것이었다. 병원 연결을 쉽게 하기 위해 QR 코드를 활용했고, 분당서울대병원이 서울대병원에서 데이터를 받을 때 해시값과 이력을 기록하면 되도록 했다. 이때 환자는 자기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고, 자기 데이터 중 지우고 싶은 정보를 지울 수 있도록 했다.

분당서울대병원과 서울대병원이 서로 환자 정보를 주고받을 때 핵심은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느냐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변조된 걸 알 수 있어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함께 의료 기관과 기업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 과제를 진행 중이다. 주관기관은 분당서울대병원이고, 여기에 서울대와 연대, 차의대, 이화여대, 신테카바이오 등이 과제를 함께 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지 실증해 보는 기회라 생각한다. 

- 의료계에서 블록체인 사업을 진행하면서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의료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느냐를 파악하는 태동기라 어렵다. 하지만 생각보다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가고 있다. 

데이터 표준화도 어려운 숙제다. 표준화 때문에 생각만큼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 몇 년 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HL7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le Resources)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게 그나마 위안이다. 또 다른 이유는 병원에 있는 데이터가 열려 있지 않아 시간은 더 오래 걸릴 것으로 보인다.

-향후 계획은?
올해 10월에 플랫폼 베타버전을 공개하고, 올해 말 정도에 플랫폼 정식 버전을 공개할 것이다. 기술 검증은 올해 안에 끝난다. 우리나라에서 개방형 생태계를 만들고, 블록체인 소스는 오픈할 것이다. 여러 기관과 함께 성장할 것이다.

헬스케어 분야에서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예비 창업자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 의사는 의료를 잘 알지만 IT는 문외한이나 다름없다. 따라서 개발자를 잘 만나야 한다고 조언하고 싶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