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레누맙 FDA 승인…프레마네주맙·유브로게판트 등도 곧 데뷔

대한두통학회에 따르면 국내 편두통 환자는 약 1000만명으로 추산된다.구체적으로 여성의 15~30%, 남성의 3~13%가 편두통을 갖고 있다. 청소년은 약 5%의 발병률을 보인다. 그러나 지난해 치료를 받은 국내 편두통 환자는 약 53만 명에 그쳤다.기존 약제의 부작용이나 효과 부족이 문제로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한 신약이 요구되는 가운데 편두통 치료제인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CGRP) 계열 제제가 올해 대거 출현을 앞두고 있다.[창간특집①]CGRP 계열 편두통 신약 대거 등장 예고[창간특집②] "CGRP 계열 신약 부작용 걱정 없어"CGRP 항체 5월 승인, 길항제는 올해 말 승인 앞둬

편두통은 CGRP 분자의 농도가 올라가 CGRP 수용체에 붙어 혈관을 확장시키고 신경염증을 일으키면서 발생한다. CGRP 제제는 편두통을 유발하는 신경전달물질인 CGRP 분자를 차단하는 공통점이 있다.

CGRP 제제는 편두통 예방제와 치료제로 나뉜다. CGRP 항체인 에레누맙(erenumab), 프레마네주맙(fremanezumab), 갈카네주맙(galcanezumab), 엡티네주맙(eptinezumab) 등은 편두통 예방제다. CGRP 길항제인 유브로게판트(ubrogepant), 아토게판트(atogepant)는 편두통 치료제다.

CGRP 항체는 수용체에 대한 기전을 차단하는 원리로 작동하기에 약효가 나타나는 데 하루 정도 시간이 걸려 편두통 발생 전 예방 목적으로 쓰인다. 반면 CGRP 길항제는 즉시 효과가 나타나 진통제로 쓰인다. CGRP 항체는 주사제고 CGRP 길항제는 경구용 제제라는 차이가 있다.

지난 5월 17일 미국식품의약국(FDA)은 CGRP 항체인 에레누맙을 승인했다. 이어 프레마네주맙, 갈카네주맙 등도 올해 9, 10월에 승인을 앞두고 있다. CGRP 길항제인 유브로게판트는 올해 말 FDA 심사를 거쳐 내년 승인될 전망이다.

▲ CGRP 항체 및 길항제 임상 3상 연구 비교

에레누맙, 위약군보다 월 평균 편두통 빈도 23% 개선

CGRP 항체인 에레누맙의 효과는 STRIVE 임상 3상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연구 결과 위약군과 비교해 월 평균 편두통 발생 빈도가 23% 더 낮았다. 연구는 환자 955명을 에레누맙 70mg 투여군, 140mg 투여군, 위약군에 무작위로 배정해 한 달에 한 번 6개월간 투약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1차 종료점으로 월 평균 편두통을 앓은 기간을 분석했고, 2차 종료점으로 월 평균 편두통 발생 빈도가 절반 이상 감소한 경우를 관찰했다.

월 평균 편두통을 앓은 기간을 분석한 결과 기저치인 8.3일에서 에레누맙 70mg 투여군은 3.2일, 140mg 투여군은 3.7일이 각각 감소했다. 반면 대조군은 1.8일 줄어드는 데 그쳤다. 또한 월 평균 편두통 발생 빈도가 절반 이상 감소한 환자 비율은 에레누맙 70mg 투여군이 43.3%, 140mg 투여군은 50%였으나, 위약군은 26.6%에 그쳤다.

부작용으로는 비인두염, 상부호흡기 감염 등이 확인됐으나 위약군 대비 유의하지 않았다.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한 횟수도 에레누맙 70mg 투여군과 140mg 투여군이 각각 8회, 6회로 위약군(7회)과 비교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지난해 11월 30일 NEJM에 실렸다.

월 평균 편두통 빈도 23% 낮춘 '프레마네주맙'

프레마네주맙의 효과는 HALO 임상 3상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환자 1130명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 따르면 프레마네주맙을 투여받은 환자는 월 평균 편두통 발생 빈도가 위약군 대비 23% 더 낮았다.

연구는 프레마네주맙 675mg을 첫 달에 한 번 주사하고 둘째, 셋째 달에는 위약을 투여한 A군, 첫 달에 675mg, 둘째와 셋째 달에는 225mg을 투여한 B군, 모두 위약을 투여한 C군으로 나눠 진행했다.
1차 종료점은 월 평균 편두통을 앓은 기간을, 2차 종료점은 월 평균 편두통 발생 빈도가 절반 이상 감소한 경우를 관찰했다. 월 평균 편두통을 앓은 일수를 분석한 결과 A, B, C군 각각의 기저치인 13.2, 12.8, 13.3일에서 프레마네주맙을 투여한 A군은 4.3일, B군은 4.6일이 감소했다.

반면 C군은 2.5일 줄었다. 월 평균 편두통 발생 빈도가 절반 이상 감소한 경우는 A군 38%, B군 41%였으나, C군은 18%였다. CGRP 제제의 부작용으로 언급됐던 간 독성으로 인한 간 기능 장애는 프레마네주맙군 5명, 위약군 3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두 경우 발생률이 1%에 그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는 지난해 11월 30일 NEJM에 실렸다.

고통 경감 환자 비율 높인 CGRP 길항제 '유브로게판트'

CGRP 길항제인 경구용 제제 유브로게판트의 효과를 확인한 임상 3상 연구 ACHIEVE는 지난 4월 미국신경과학회 연례학술대회(AAN 2018)에서 발표됐다.

연구는 편두통 환자 1686명에게 유브로게판트 25mg과 50mg 또는 위약을 투여한 후 고통 또는 메스꺼움이나 시청각 공포를 뜻하는 MBS(Most Bothersome Symptoms)가 사라진 경우를 측정했다. 그 결과 투여 후 2시간 동안 고통이 사라진 환자는 유브로게판트 25mg 투여군 20.7%, 50mg 투여군 21.8%가 해당됐다. 반면 위약군은 14.3%에 그쳤다.

또한 투여 후 2시간 동안 MBS가 사라진 환자는 유브로게판트 25mg 투여군 34.1%, 50mg 투여군 38.9%가 해당됐다. 반면 위약군은 27.4%에 그쳤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메스꺼움과 현기증이 있다. 그러나 발생 빈도는 2.5%를 넘지 않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