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진단 중요성 강조한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 첫 제정
22일 국제알츠하이머협회 콘퍼런스에서 최초 공개

국제알츠하이머병협회(Alzheimer's Association)가 빠른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 검사의 중요성을 담은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을 처음으로 제정했다.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 진단 기준과 검사 기술이 발전했음에도 질환이 적절한 시기에 확인되지 않아 이로 인한 위험이 커지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에, 인지기능·행동 변화가 나타났다면 최대한 빨리 검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협회는 22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국제알츠하이머병협회 콘퍼런스(Alzheimer's Associ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2018, AAIC 2018)에서 이번 가이드라인을 최초 공개했다.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전체 가이드라인은 올해 말 발표된다.

협회 Alireza Atri 공동의장은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를 정확하게 진단하면서 환자 예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그동안 알츠하이머병과 치매로 의심돼 이에 대한 임상 평가가 필요한 경우 의료진이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없었다. 이에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20가지 권고안을 담은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고 제정 배경을 밝혔다. 

인지기능 변화 느꼈다면…알츠하이머병 검사 '필수'

가이드라인에서 가장 강력하게 내세운 점은 '시기적절한 평가'다. 알츠하이머병과 치매는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자가 인지기능 변화 등을 느껴 내원했다면 반드시 질환을 검사하고 추적관찰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에 권고안을 △환자 유형 △질환 과거력 △진료실 기반 환자 검사 △신경심리학적 검사 △검사실(laboratory) 및 영상 검사 △진단 소견에 대한 의사소통 및 추적관찰 등으로 분류해 각각 제시했다. 

먼저 가이드라인에서는 환자 스스로 또는 보호자, 의료진이 인지기능·행동 변화가 있다고 보고한다면, 의료진은 이 같은 문제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평가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제시했다(Level A). 특히 정상 노년층(normal aging)이라도 인지기능·행동 변화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 적절한 검사 없이 이를 무시해선 안 된다는 게 가이드라인의 전언이다. 

증상이 비정형적(atypical)이거나 빠르게 인지기능·행동 변화가 진행되는 환자의 경우 의료진이 다양한 검사를 진행한 후 관련 전문가에게 전원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Level A). 

평가는 인지행동증후군(Cognitive Behavioral Syndrome) 확인을 위해 환자의 개별적인 위험요인과 특징을 바탕으로 시행해야 하며, 가능한 발병 원인을 파악해 병인론적 진단(etiologic diagnosis)이 이뤄져야 한다고 명시했다(Level A).

아울러 전반적인 검사 과정에서 의료진과 환자 및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Level A). 즉 평가 과정에 환자와 의료진뿐만 아니라 가족, 지인 등 보호자도 참여해야 한다는 의미로, 이를 통해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협회 Global sciences initiatives의 James Hendrix 이사는 "질환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 등 보호자도 의료진과 의사소통을 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증상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가이드라인에 담았다"면서 "이를 통해 환자들은 시기적절하게 치료를 시작할 수 있으며 가족들은 향후 관리 계획을 세울 수 있어 높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료실 기반 검사 후 영상 검사로 '정확'하게 진단해야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 검사는 진료실 기반 환자 검사와 검사실 및 영상 검사로 분류해 각각 제시했다. 검사실 및 영상 검사 권고안을 담은 까닭은 알츠하이머병과 치매 환자를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해선 진료실 기반 환자 검사와 함께 반드시 진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열린 AAIC 2017에서 공개된 IDEAS 중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양전자 단층촬영(PET)을 받은 경도 인지기능장애 환자 약 45%와 치매 환자 30%가량에서 베타아밀로이드가 확인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아닌 것으로 진단됐다. 

이를 반영해 가이드라인에서는 우선 인지행동증후군 진단을 목표로 인지기능 평가, 기분 및 행동 평가, 치매에 중점을 둔 신경학적 평가 등의 진료실 기반 검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Level A).

만약 환자가 과거력 또는 검사 결과에 따라 비정형적 증상을 보이거나 진단을 확실하게 내릴 수 없다면 관련 전문가에게 전원해야 하며(Level A), 전문가들은 인지행동증후군 환자 평가 시 과거력 및 진료실 기반 검사를 종합적으로 확인해 인지행동증후군을 진단하도록 권고했다(Level A).

검사실 및 영상 검사는 환자의 의학적 위험요인 및 특징에 따라 단계적으로 개별화된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고 명시했다(Level A).

이어 인지행동증후군을 평가받은 환자의 경우 병인론적 진단을 위해 첫 번째 검사로 자기공명영상(MRI)을 시행해야 하며, MRI가 어렵다면 컴퓨터 단층촬영(CT)을 권고했다(Level B). 

구조적 뇌영상 검사(structural imaging)를 받은 인지행동증후군 환자의 병인론적 원인이 명확하지 않다면, 진단 정확도를 높이고자 FDG(fluorodeoxyglucose)-PET 검사 등 분자영상검사(molecular imaging)를 진행하도록 제시했다(Level B). 이를 통해 치매 유발 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 42(Aβ42)와 뇌 척수액 내 타우 단백질을 확인하도록 한 것이다.

만약 이 같은 검사에서도 결과가 불확실하다면 뇌척수액검사(CSF)로 베타아밀로이드 42와 타우 단백질을 확인하도록 했다. 다만 권고 등급은 가장 약한 C였다(Level C). 

이와 함께 의료진은 진단 및 치료 결과를 환자 및 보호자에게 정확하게 알리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Level A). 지난 2015년 협회가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알츠하이머병 환자 또는 보호자 중 45%만이 의료진과 질환에 대한 의사소통을 진행했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의사소통 과정에서 의료진은 환자 및 보호자에게 질환명, 질환 특징, 중증도 등을 정확하게 알리며, 치료 전략과 잠재적인 안전성 문제, 지역사회 지원 체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Level A).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 환자, 치료 초기부터 질환 관리 가능해질 것"

협회는 이번 가이드라인이 임상에서 활발하게 적용된다면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 환자가 치료 초기부터 질환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협회 Bradford Dickerson 공동의장은 "1차 진료현장에서 인지기능·행동 변화를 평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진단 기술이 발달하면서 임상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했다"면서 "이번 가이드라인 제정으로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를 적절한 시기에 진단할 수 있어 환자들이 치료 초기부터 질환 관리가 가능해질 것이다. 또 조기에 치료가 이뤄지면서 의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많은 환자가 알츠하이머병 관련 연구에 참여하는 기회가 마련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