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위암센터 연구팀, 면역항암제에 반응 보이는 환자 유전체 분석으로 밝혀

기존 항암제로 치료가 어려운 전이성 위암 환자에게 면역항암제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한층 더 커졌다.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위암센터(센터장 김재준 교수) 강원기·이지연·김승태(혈액종양내과)·김경미(병리과) 교수 연구팀은 기존 치료법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국내 전이성 위암 환자에서 면역항암제 펨브롤리주맙의 효과를 입증하고, 면역항암제에 반응을 보이는 환자를 유전체 분석으로 밝혀냈다. 

면역항암제가 어떤 환자에게 주효한 지 의학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에서 국내 연구팀이 새로운 바이오마커 기대주를 발견함에 따라, 이를 토대로 한 치료법 개발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연구에는 기존 치료법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은 전이성 위암 환자 61명이 포함됐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펨브롤리주맙을 투여했다. 

2년의 추적 관찰 동안 환자의 절반가량인 30명에서 암세포가 줄어들었고, 이 중 15명은 30% 이상 종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75% 이상 종양이 사라진 환자도 5명에 달했다. 

이들의 유전체를 분석하자 암세포가 줄어들 정도로 면역항암제에 반응을 보이는 환자들은 모두 암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 PD-L1이 양성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이번 연구에서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특징들도 새롭게 밝혀졌다.  

연구팀이 유전체를 분석한 환자 57명 중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양성 환자 모두(6명) 종양 감소율이 30%를 넘었고, 고빈도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SI-High)이 나타난 환자도 1명을 제외하곤 6명의 종양 감소율이 50%를 웃돌았다. 반대로 메센키말 아형(EMT) 위암 환자는 PD-L1의 양성 여부와 상관없이 반응률이 떨어졌다.

연구팀은 앞으로 새로운 바이오마커 개발과 함께 면역항암제의 반응을 높이기 위한 신약 개발에도 뛰어들 계획이다.

강 교수는 "치료가 제한적인 진행성 위암 환자에게 어떤 치료가 얼마나 효과 있을지 미리 알 수 있다면 그에 맞춰 치료 전략도 세세하게 짤 수 있다"며 "궁극적으로 환자 맞춤 치료를 가능케 해 전이 위암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 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Nature Medicine 7월 16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