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등 국내 연구팀 코호트 분석…전신 마취 경험 있다면 치매 위험 29% ↑

 

국내 연구팀이 전신 마취를 경험한 노인환자는 인지기능 확인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삼성서울병원 김도관 교수(정신건강의학과),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호 교수, 한림대 생사학연구소 김태미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명우재 교수(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코호트를 분석한 결과, 전신 마취 경험이 있는 50세 이상에서 치매 위험이 약 29% 증가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코호트를 활용해 50세 이상 성인 남녀 21만 9423명을 전신 마취 경험이 있는 군(전신 마취군, 4만 4956명)과 대조군(17만 4469명)으로 나눠 2002년부터 2013년까지 12년에 걸쳐 치매 발생 여부를 분석했다. 

이 기간에 두 군에서 새롭게 치매를 진단받은 환자는 모두 8890명으로, 76.5%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였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신 마취군의 치매 발생 위험은 대조군에 비해 28.5% 높았다. 이는 치매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 성별, 동반 질환, 수술 부위 등 다른 요인들을 모두 반영한 결과였다.

또 마취에 사용하는 정맥 마취제가 여러 가지라면 한 가지를 사용할 때보다 49%가량 치매 발생 위험이 늘었다. 뿐만 아니라 전신 마취 시간이 1시간 늘 때마다 치매 발생 위험도 6%씩 증가했다.

연구책임자인 김도관 교수는 "치매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늘고 있지만 아직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는 만큼 여러 가지 위험인자들을 탐색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결과는 수술을 위해 시행하는 전신마취가 위험하니 피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전신마취 전후에 인지기능에 대한 평가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뜻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4월 1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J Alzheimers Dis 2018;63(1):395-405).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