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장학회 기자간담회서 2018년 등록사업 결과 발표...“체계적 관리 시급”

대한신장학회는 17일 열린 KSN 2018 국제학회에서 2018년 만성신부전환자등록사업 결과를 발표했다. 학회는 만성신부전환자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등록사업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가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투석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의료계 역시 투석치료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했지만, 여전히 높은 사망률로 인해 보다 체계적인 관리체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신장학회는 17일 홍은동 그랜드힐튼호텔에서 2018년 KSN 국제학회 기자간담회에서 2018년 말기신부전 환자 등록사업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 혈액투석, 복막투석 혹은 신장이식 환자 수는 총 9만 8746명(혈액투석 7만 3059명, 복막투석 6475명, 신장이식 1만 9212명)으로 인구 100만명당 말기신부전 환자 수는 1898명에 이르렀다. 

평균연령은 혈액투석 62.3세, 복막투석 53.8세였다. 

말기신부전의 원인질환으로는 당뇨병성 콩팥병이 전체 환자의 48.9%를 차지했다. 고혈압성 콩팥경화증, 만성 사구체신염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만성콩팥병과 투석치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투석환자들의 생존율은 낮았다. 

2018년 말기신부전 환자 등록사업 결과에 따르면 투석환자의 5년 생존율은 남자 67.2%, 여자 71.7%로 나타났다. 

특히 투석환자는 심혈관계 질환을 원인으로 사망하는 비율이 45.1%로 가장 높았다. 

또 원인질환별로 살펴보면 당뇨병, 영양상태 불량, 감염, 만성 사구체신염 등도 기여했다. 

투석환자의 사회 복귀율도 낮았다. 

투석환자의 복귀 및 재활을 살펴보면 전체 혈액투석 환자의 33%, 복막투석환자의 49%만이 취업에 성공했다. 

학회는 등록사업의 한계가 분명한 만큼 국내 투석환자 전부를 등록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했다. 

국내 투석환자의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문제점을 인지,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국내 모든 투석환자의 현황을 등록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데, 우리나라는 회원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인공신장실을 갖춘 요양병원 등에서도 투석이 이뤄지고 있지만 이들 환자에 대한 데이터는 수집이 불가능한 상태다. 

실제 학회에 따르면 국내 말기신부전 환자등록사업의 경우 국내 전체 환자의 60~70% 환자의 분석데이터다. 

학회 김용수 이사장은 “학회는 강제성이 없기에 등록사업의 경우 회원의 자발적 참여에 의존하고 있다”며 “회원이 아닌 사람이 인공신장실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고, 회원이 아닌 곳은 접촉조차 어렵다”고 지적했다. 

말기신부전 환자의 현황 파악은 환자등록사업이 기반이며, 이를 통해 말기신부전 환자에 대한 양질의 치료 환경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정부에서도 혈액투석 적정성평가를 도입 운영하고 있고 학회에서도 자체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최근 암환자 등록사업이 진행되는 것처럼 그와 유사한 말기신부전 환자 등록사업을 위한 제도적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