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신정 기자

최대집 전국의사총연합 공동대표가 13만 의사들의 새 수장으로 선출됐다.

이번 선거에서는 4만 2700여명의 유권자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투표권을 행사했고, 최 당선인은 이 중 6199표(득표율 30%)를 얻어 당선을 확정지었다.

최 대표의 당선은 의료계를 넘어 사회적으로도 큰 이슈가 됐다. 문재인 케어 등 국정현안과 맞물려 대한의사협회를 중심으로 한 향후 의료계의 행보에 관심이 쏠려있던 까닭이다.

최 당선인은 당선 직후부터 광폭행보를 보이고 있다. 외부적으로는 의정대화 중단을 공식 선언하고 의료계 집단행동을 예고하는 등 대정부 투쟁기조를 보다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고, 내부적으로는 시도의사회를 돌며 의료계 내부단결을 강조하고 있다.

다만 이런 그의 행보를 지켜보며 우려가 드는 것도 사실이다.

환자단체연합과 보건의료노조, 대한한의사협회는 2일 일제히 성명을 내어 “국민을 볼모로 한 집단 이기주의를 중단하라”며 최대집 당선인과 의협 비대위를 비판했다. 앞서 대한병원협회는 의협의 의정대화 중단선언과 별개로 의-병-정 실무협의체의 연장선에서 복지부와 대화를 이어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시민사회단체는 물론 의료계 직역단체들도 의협에 등을 돌리는 형국이다.

당장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이른바 ‘의협 패싱’이 현실화되지는 않더라도, 이는 최대집 당선인과 곧 들어설 의협 집행부에 주어진 문케어 저지라는 목표 달성에 있어 결코 유리한 상황은 아니다.

전략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투쟁은 있으되 이를 통해 얻어내고자 하는 목표가 명확치 않고, 세부 전략을 일선 의사들에게 설명하고 설득하는 작업도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다.

최 당선인과 의협 비대위는 4월 상복부 초음파 급여화 고시 시행에 반발, 29일 의정협의 중단을 선언한데 이어, 30일 기자회견을 통해 이달 중 의료계 집단행동에 나서겠다고 예고했지만, 4월 고시 시행을 맞닥뜨리는 의사 회원들의 대응전략 소위 ‘행동지침’은 따로 알리지 않았다.

때문에 일선 의료기관들은 이를 거부해야 할지, 정부 고시대로 급여적용을 해야 할지, 한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지 우왕좌왕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보험고시가 변경될 경우 의협이 시도의사회를 통해 회원들에 상병코드 등 주요 변경사항을 안내하지만, 상복부 초음파의 경우 불편한 동거 중인 기존 집행부와 차기 집행부 모두 이에 대한 별도의 안내를 내지 않아 현장의 혼란이 더욱 크다.

가장 큰 걱정은 문케어를 둘러싼 의료계의 합리적인 주장이나 요구가, 자칫 반정부 시위나 투쟁으로 왜곡되어 비춰질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최대집 당선인은 의협 회장 당선 이후 수차례 포털 실시간 검색어에 이름을 올릴 정도로 높은 화제성을 보이고 있다. 문케어 추진과 맞물려 의협의 역할이 재조명된 까닭도 있으나, 적지 않은 사람들은 그의 정치성향과 과거 사회단체 활동이력 등에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최대집 당선인 또한 이 같은 우려를 인지해 “의료현안과 관련없는 정치적 행보는 하지 않겠다”고 수차례 공언했으나, 11년 만에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는 27일을 집단휴진 등 의료계 집단행동 날짜 중 하나로 거론한 것을 두고도 벌써부터 뒷말이 나온다.

문재인 케어 저지는 선거 승리와 동시에 의사 회원들에게 부여받은 최대집 당선인의 숙명이다. 이를 해결해야 할 그의 어깨가 무겁다. 하나 덧붙이지자면, 대한의사협회 수장은 13만 의사를 대표하는 자리로 그 무게 또한 결코 가볍지 않다. 아슬한 줄타기가 시작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